고려시대사

[스크랩] 고려,조선 관직과 담당 부서 ㅎ

똥하 2017. 9. 19. 04:36
고려,조선 관직과 담당 부서 ㅎ

자 료 / 하얀그리움

참고자료; 클릭 →
조선 시대 관직 품계      조선조 관직과 현직 비교       조선조 관직과 품계
조선실록,역사자료 단어해설

바로가기

하관정 (夏官正) ; 고려시대 사천대(司天臺)의 종5품 관직. 천문(天文)·역수(曆數)·측후(測候) 및 각루(刻漏) 등의 일을 담당.
학록 (學錄) ; ① 고려시대 국자감(國子監)의 정9품 관직. 국자감 학생의 훈육과 학습활동의 독려가 주된 임무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② 조선시대 성균관의 정9품 관직. 교관을 보좌하는 임무를 담당.
학사 (學士) ; ① 신라시대 관직. ② 고려때 종 2품에서 정 4품까지의 벼슬. 왕을 시종. ③ 조선 초기의 중추원(中樞院)에 소속된 종2품의 벼슬. 왕의 측근에서 왕명을 대필하고, 주요문서를 제찬하는 등의 문한업무를 담당.
학사승지 (學士承旨) ; 고려시대 한림원(翰林院) 소속의 정 2품에서 정 3품의 관직.재상이 겸임하는 판한림원사(判翰林院事) 바로 아래에 있어 실질적인 상임장관, 한림학사와 더불어 중서문하성의 재상이 될 수 있는 근시직이었다.
학유 (學諭) ; 국자감의 종 9품의 관직.조선 때 성균관의 종 9품의 관직. 과거응시의 예비심사일을 처리, 태종 때부터는 성균관입학시험에 대한 예비심사도 하였다.
학장 (學長) ; 조선시대 향교(鄕校)에서 교육을 담당한 교원.
학정 (學正) ; 1)고려시대 국자감의 정 9품의 관직. 2)조선 때 성균관의 정 9품의 관직. 각종 과거응시자 예비심사의 일을 처리, 태종 때부터는 성균관입학시험에 관한 예비심사도 하였다.
한림학사

(翰林學士) ; 고려시대 한림원(翰林院) 소속의 정 4품의 관직. 왕명을 받들어 외교문서를 작성, 과거를 관장,

서적을 편찬, 서연관(書筵官)으로서 왕에게 강의, 시종관(侍從官)으로서 왕의 거둥에 시종하는 등의 임무를 맡았다.

한성부판윤 (漢城府判尹) ; 조선시대 한성부의 으뜸벼슬로 정 2품. 지금의 서울특별시장.
한학교수 (漢學敎授) ; 조선시대 사역원 한학생도를 가르친 종6품 관직. 주로 한어(漢語)의 교습만을 담당하여왔는데, 정식으로 교수관이 설치되는 것은 1391년(공양왕 3)의 일이다.
한학상통사 (漢學上通事) ; 조선시대 사역원에 소속된 관직. 부경(赴京) 역관직으로 사행시에 예단(禮單 : 폐물의 이름을 적은 명세서)을 간수, 상의원(尙衣院)의 어공(御供 : 왕에게 바치는 물품) 무역을 관장하던 체아직이다.
함흥차사 (咸興差使) ; 조선 초기 함흥에 가 있던 태조에게 보낸 사신.
해관세무사 (海關稅務司) ; 조선 말기 관세업무를 관장하던 관리. 해관(海關)의 제반사무를 관장.
해령직 (海領職) : 여말 선초(麗末鮮初)에 선군(船軍)에게 주던 무관직(武官職) 벼슬. 40개월에 1계급씩 승진시켜 종2품 가선 대부(嘉善大夫)에 이르면 그치게 하였다.
해운판관 (海運判官) ; 전함사(典艦司) 소속의 정5품 관직. 충청도·전라도의 조운 업무를 담당했다.
행대어사 (行臺御史) ; 조선 전기 지방에 분견(分遣)되어 백성의 생활상을 살피고 지방관을 규찰하며 각종의 범죄 사건을 조사하던 사헌부 감찰. 행대 또는 행대감찰이라고도 하였다.
행사과 (行司果) : 정6품의 군직.
행수 (行首) : 동렬 중의 수석 관원. 고려시대의 무관 보직. 지유(指諭)보다는 낮은 하급 부대 지휘관의 호칭으로 쓰인 듯하다. 낭장(郞長)·별장(別將)·산원(散員) 등의 무장들이 주로 이에 보임, 대체로 중금(中禁)·견룡(牽龍) 등의 금군(禁軍)에 배속.
행수 (行守) ; 고려·조선시대 품계와 관직이 일치하지 않은 관원에게 주던 칭호. 
행영병마사 (行營兵馬使) ; 고려시대의 외관직(外官職). 변방에 일이 발생하면 양부(兩府:宰府와 樞府)의 재신(宰臣)들에게 군사권을 부여, 이를 수습하게 하였는데, 이때 이 임무를 받은 재신을 행영병마사라 하였다.
행인 (行人) : 빈객(賓客)의 접대을 맡아보는 벼슬.
향관 (餉官) ; 조선 말기 육군 각 부대에 배치되어 급여출납·예산결산·식량관리 등 경리 전반을 관장한 회계관.
향리 (鄕吏) ; 고려·조선시대 지방관청에 속해 지방관의 명령에 따라 그 지역의 행정실무를 처리하던 하급 관인계층. 
향정 (鄕正) ; 조선시대 지방의 향청이나 향교 등에서 실무를 맡았던 향임(鄕任). 면에 부면장격인 약정의 일을 보는 풍헌 아래의 향임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향직 (鄕職) ; 고려시대 문산계(文散階)·무산계(武散階)와 더불어 사용된 품계.
향통사 (鄕通事) ; 조선시대 지방에 있었던 통역관. 중앙의 경통사(京通事)와 대비된다. 
헌납 (獻納) ; 1. 고려 후기 도첨의사사(都僉議使司:都僉議府)의 정5품 관직.
현감 (縣監) ; 고려와 조선시대 초의 지방장관으로 고려 때는 7품. 조선 때는 종 6품직. 조선시대 최하위의 지방행정구역 단위였던 현(縣)의 종6품직 관직이다.
현공교위 (顯功校尉) ; 조선시대 서반 잡직계 종6품 상계의 위호(位號).
현남 (縣男) ; 고려시대의 작호(爵號). 개국자(開國子) 다음의 서열로 품계는 종5품.
현령 (縣令) ; 조선시대 각 현(縣)의 으뜸벼슬로 종 5품의 지방관직.
현록대부 (顯祿大夫) ; 조선시대 종친에게 주는 정 1품의 벼슬.
현백 (縣伯) ; 고려시대의 작호(爵號). 현후(縣侯) 다음의 서열로 품계는 정5품.
현부인 (縣夫人) ; 조선시대 외명부인 종친처에게 내린 정·종2품 작호(爵號). 종친인 정2품의 숭헌대부(崇憲大夫)·승헌대부(承憲大夫)의 적처와 종2품의 중의대부(中義大夫)·정의대부(正義大夫)의 적처를 봉작.
현비 (賢妃) ; 고려시대 정1품의 내직(內職). 문종 때 정하여졌다.
현신교위

(顯信校尉) ; 조선시대 무신 종5품 상계(上階)의 품계명. 종5품 상계는 현신교위(顯信校尉), 하계는 창신교위(彰信校尉).

 

현주 (縣主) ; 조선시대 외명부인 왕세자의 서녀에게 내린 정3품 작호(爵號).
현후 (縣侯) ; 고려시대의 작호(爵號). 국공(國公)·군공(郡公) 다음의 서열.
협률랑 (協律郎) ; 조선이 1392년 7월 28일 문무백관을 새로 정할 때, 정7품의 협률랑 2인을 봉상시(奉常寺)에 두었는데, 세종 때 회례연(會禮宴)의 등가 (登歌)에서 휘를 들고 음악을 진행하였다.
형방 (刑房) ; 조선시대 지방관서에서 형전관계(刑典關係)의 실무를 담당하던 부서, 또는 그 일을 맡은 책임 향리. 
혜인 (惠人) ; 조선시대 외명부인 종친처에게 내린 정·종4품 작호(爵號).
호군 (護軍) ; 조선시대 5위(五衛)에 속한 정 4품의 무관직(武官職).
호방 (戶房) ; 조선시대 지방관서에서 호전관계(戶典關係)의 실무를 맡아보던 부서, 또는 그 일에 종사하던 책임 향리. 지방의 호구관리, 전결(田結)의 조사, 부세(賦稅 : 세금의 부과)와 징수에 관계된 실무를 맡았다. ② 조선시대 승정원의 호전(戶典) 담당부서. 호구(戶口)·공부(貢賦 : 지방 특산물의 稅制)·전세(田稅)·유통관계 사무의 출납을 맡았다.
호부시랑 (戶部侍郞) : 고려 시대 호부의 정4품 관직(官職).
호장 (戶長) : 고려시대 향직의 우두머리.
화사 (畵史) ; 조선시대 도화서(圖畵署)에 소속된 종8품 잡직. 화원 전문직이었다. 선화(善 : 종6품) 1, 선회(善繪 : 종7품) 1, 화사(畵史 : 종8품) 1, 회사(繪史 : 종9품) 2로 모두 8과()가 있었다.
화원 (畫員) ; 조선시대 도화서(圖畵署)에 속한 잡직. 선화(善 : 종6품) 1, 선회(善繪 : 종7품) 1, 화사(畵史 : 종8품) 1, 회사(繪史 : 종9품) 2로 모두 8과()가 있었다.
환관 (宦官) ; ① 고려 후기와 조선시대에는 내시(內侍)로 통칭되었다. ② 조선시대의 환관은 내시부에 속했으며, 근시(近侍)의 임무를 띠고 대전(大殿)·왕비전·세자궁·빈궁전 등에서 감선, 사명(使命 : 명령전달) 및 궐문수직 및 청소 등 잡무를 맡아 보았다.
회계사 (會計司) ; ①조선 때 호조(戶曹)에 소속한 관청. ②조선 말기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甲午改革) 때 궁내부(宮內府)에 소속한 관청으로 왕실의 경리 (經理) 사무를 맡아보았다.
회사 (會士) ; 조선시대 호조(戶曹). 산학청(算學廳) 소속의 종 9품의 벼슬.  궐내외 여러 곳의 계산을 담당.
회사 (繪史) ; 조선시대 도화서(圖畵署)에 소속된 종9품 잡직. 화원(畵員) 전문직이었다.
회원위 (懷遠衛) ; 조선시대 회령·경원도호부에 설치되었던 토관(土官)의 서반(西班) 위령조직(衛領組織).
효력부위 ; 조선시대 무신 정9품의 품계명.
효용도위 ; 조선시대 서반 종9품 토관계(土官階)의 위호(位號).
효위 (驍尉) : 조선 시대 때 영흥부(永興府)와 평양부(平壤府)에 두는 토관직(土官職)인 한 군직(軍職).
효임랑 (效任郞) ; 조선시대 각 관아에 소속된 종 6품의 잡직(雜織).
(侯) ; 고려시대 봉작(封爵)의 등급.
훈도 (訓導) ; 조선시대 한양의 4학(學)과 지방의 향교에서 교육을 담당한 교관.
흥록대부 (興祿大夫) ; 고려시대 정 2품의 문관품계. 조선 때 종친에게 주던 정 1품의 관계.
희공랑 (熙功郞) ; 조선시대 동반(東班) 토관직(土官職)으로 정 7품의 벼슬. 전사(典事)의 관직을 받았다.
출처 : 하얀그리움
글쓴이 : 하얀그리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