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사

[스크랩] 고려,조선 관직과 담당 부서 ㅌ

똥하 2017. 9. 19. 04:35
고려,조선 관직과 담당 부서 ㅌ

자 료 / 하얀그리움

참고자료; 클릭 →
조선 시대 관직 품계      조선조 관직과 현직 비교       조선조 관직과 품계
조선실록,역사자료 단어해설
바로가기
고려조의 관직변천표    
탄력도위 (彈力徒尉) ; 조선시대 서반 종9품의 토관계(土官階). 본도(本道)사람을 동반은 관찰사가, 서반은 절도사가 임명. 토관계는 정5품부터 종9품까지이다.
태대대로 (太大對盧) ; 고구려시대의 관직. 귀족들에 의하여 선출되는 고구려 말기의 수상직으로서 제1관등인 대대로에서 분화, 발전된 것이다.
태대막리지 (太大莫離支) ; 고구려시대의 관직. 행정권과 군사권 모두를 장악한 고구려 말기의 최고위 관직.
태대사자

(太大使者) ; 고구려시대의 관직. ‘알사(謁奢)’ 또는 ‘대상(大相)’이라고도 한다. 관제의 14관등 중 제4위의 관등. 

태대형

(太大兄) ; 고구려시대의 관명. ‘막하하라지(莫何何羅支)’라고도 한다. 고구려의 14관등 중 제2위의 관등. 

태보 (太保) ; 고려시대 삼사(三師)에 속한 정 1품의 관직. 태보(太保) ; 고려시대에 왕자·부마(駙馬)·비부(妃父) 등의 종실(宗室)과 공신(功臣) 및 고위 관원에게 내렸던 벼슬. 품계는 정1품이었다.
태부 (太傅) ; 태부(太傅) ; 고려시대에 왕자·부마(駙馬)·비부(妃父) 등의 종실(宗室)과 공신(功臣) 및 고위 관원에게 내렸던 벼슬의 하나. 정해진 직사(職事)가 없는 허직(虛職)이며, 품계는 정1품이었다.
태사 (太師) ; 고려시대 왕자·부마(駙馬)·비부(妃父) 등의 종실(宗室)과 공신(功臣) 및 고위 관원에게 내렸던 벼슬.정해진 직사(職事)가 없는 허직(虛職)이며, 품계는 정1품이었다.
태사훈 (台司訓) ; 태봉(泰封) 때의 관계(官階). 9단계의 문산계(文散階) 중 세번째의 관계였다.
태수 (太守) ; 신라시대 각 군(軍)의 으뜸벼슬로 중아찬(重阿 )에서 사지(舍知)까지가 맡음.
태위 (太尉) ; 고려시대의 관직. 문종 때에 1인을 두고 품계는 정1품으로 정하였다는 기록이 처음 보이고 있다.
태중대부 (太中大夫) ; 고려시대 문관의 위계제도. 종4품 상계(上階)로 전체 29등급 중 제4계였다.
태학박사 (太學博士) ; 고구려시대 교육을 담당하였던 전문관직. 국립교육기관인 태학(太學)의 교수였던 것 같다. 교육뿐만 아니라 역사편찬과 문서관리도 담당하였던 것 같다.
태학사 (太學士) ; 조선 말기 궁내부(宮內府) 소속의 문관직.
토관직 (土官職) ; 고려 말기부터 조선 초기까지 평안도·함경도·제주도 등지의 토착인에게 주었던 특수 관직.
토포사 (討捕使) ; 조선 후기 각 지방의 수령이나 진영장(鎭營將)에게 겸임시킨 특수관직. 도적(산적·화적 등)을 수색, 체포하기 위하여 특정수령이나 진영장(鎭營將)에게 겸임시킨 관직이다.
통덕랑 (通德郞) ; 조선시대 정 5품의 동반(東班:문반)의 관계(官階). 정5품 상계는 통덕랑, 하계는 통선랑.
통령

(統領) ; 조선 시대에, 조운선 10척을 거느리던 무관 벼슬.

통사

(通事) ; 1. 고려 내시부(內侍府)에 속한 9품의 벼슬.
2. 문하부에 속한 이속(吏屬). 정원을 2인으로 하였다.
3, 조선때 통역관(通譯官). 조선시대 사역원에 소속되어 통역의 임무를 담당한 역관(譯官).

4도목취재(四都目取才)에서 상등(上等)으로 합격한 사람을 말하나 외국에 가는 사행(使行)에 따라가는 통역관을 통칭하기도 하였다.

통사 (通詞) ; 조선시대 사역원(司譯院)에 속하여 통역에 종사 하였다. 의주(義州). 동래(東來) 등지(等地)에서 통역(通譯)에 종사(從事)하였음.
통사랑 (通仕郞) ; 1. 고려시대 9품의 문관관계(文官官階). 
2. 조선 때 정 8품의 문관관계. 
통선랑

(通善郞) ; 조선시대 정 5품의 동반관계(東班官階). 상계는 통덕랑, 하계는 통선랑. 

통의대부 (通議大夫) ; 고려시대 시대에 따라 정 3품에서 정 4품까지의 문산계(文散階).
통어사 (統禦使) ; 조선 후기 삼도수군을 통어한 종2품 관직.삼도통어사(三道統禦使)라 통칭되기도 한다.
통역관

(通譯官) ; 조선 말기 궁내부(宮內府)의 문관직. 외국어의 통역·번역 사무를 담당.

통의대부 (通議大夫) ; 고려시대 시대에 따라 정 3품에서 정 4품까지의 문산계(文散階).
통의랑 (通議郞) ; 조선시대 동반의 정 5품의 토관직(土官職) 관계(官階). 도무(都務)의 관직을 받았다.
통인 (通引) : 1. 고려시대의 이속(吏屬).
2. 조선시대 지방관서에 소속된 이속.
통정대부 (通政大夫) ; 조선시대 문관(文官). 종친(宗親). 의빈(儀賓)의 정 3품의 관계(官階).
통제사 (統制使) ; 조선시대 3도(전라. 경남. 충청)의 수군을 통솔하던 관직. 조선 후기 서반(西班) 종2품 관직.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로 통칭되며, 경상우도수군절도사가 겸임하여 통제사·통수(統帥)·통곤(統閫) 등으로도 불리었다.
통제중군 (統制中軍) ; 조선 말기 수군(水軍)의 고위관직. 군량미의 관리를 위하여 파견되었다.
통직랑 (通直郞) ; 고려시대 시대에 따라 정 5품에서 6품 하(下) 까지의 문관관계. 
2. 조선시대 종친계(宗親階) 정5품 상계의 위호(位號). 낭품계(郎品階)의 상한(上限)이다.
통판 (通判) ; 고려시대 지방관부에 두었던 관직.
통헌대부 (通憲大夫) ; 1, 고려시대 종 2품의 문산계(文散階). 
2. 조선 때 정 2품의 의빈관계.
통훈대부 (通訓大夫) ; 조선시대 문관의 정 3품 당하관(堂下官)의 관계(官階). 
특진 (特進) ; 고려시대 문관의 위계제도. 전체 29등급 중 제2계였다.
특진관

(特進官) ; 1. 1. 조선시대 경연(經筵)에 참시(參侍)하여 왕의 고문에 응하던 관직.

2. 조선 말기의 궁내부 관리. 칙임관(勅任官)으로 보(補)하였다. 왕실의 전례(典禮)·의식(儀式)에 관한 일을 포함하여 왕실사무에 대한 왕의 자문에 응하였다.

특진보국삼중대광 (特進輔國三重大匡) : 문산계(文散階). 정1품 상(上).
특진삼중대광 (特進三重大匡) ; 고려시대 문관의 위계제도. 문산계(文散階) 정1품 하계(下階). 얼마 뒤 폐지.
출처 : 하얀그리움
글쓴이 : 하얀그리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