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사

[스크랩] 고려,조선 관직과 담당 부서 ㅍ

똥하 2017. 9. 19. 04:35
고려,조선 관직과 담당 부서 ㅍ

자 료 / 하얀그리움

참고자료; 클릭 →
조선 시대 관직 품계      조선조 관직과 현직 비교       조선조 관직과 품계,
조선실록,역사자료 단어해설 ,
바로가기
파오치 ; 고려시대 원나라의 영향을 받은 몽고식 관직명. 한자로는 ‘波吾赤(파오적)’으로 표기한다. 몽고어로 파오치는 대개 여객을 맡아보는 직원을 뜻하는 말이다.
파총 (把摠) ; 조선시대 오군영(五軍營)·관리영(管理營)·총리영(摠理營) 등에 두었던 서반 관직. 임진왜란 이후 속오법(束伍法)에 따른 새로운 군사편제의 하나인 사(司)의 지휘관으로 약 600명 단위부대의 장이었다.
판결사 (判決事) ; 조선시대 장례원(掌隷院)의 정3품 당상관직. 장례원의 장관이며 노비송사에 대한 판결책임관이다.
판관

(判官) ; 1. 신라시대 벼슬.
2. 고려 전기의 지방관직. 품계는 6품 이상으로 임명.
3. 고려시대의 중앙관직. 품계는 각기 정5품·정7품·종9품이었다.

4. 조선시대 여러 관서의 종5품 관직.

판교 (判校) ; 조선시대 승무원(乘務員). 교서관(校書館)에 속한 정 3품 당하관직. 타관이 겸하였다.
판도판서 (版圖判書) : 판도사의 으뜸 벼슬. 고려(高麗) 중엽(中葉)의 관직(官職)의 하나. 
판문하 (判門下) ; 고려 후기 문하부의 종1품 관직. 고려 전기의 중서령(中書令)에서 연원하는 최고관직이다.
판사

(判事) ; 1. 고려시대 각 6부(六部)의 장(長)으로 종 1품관. 해당 관부의 최고관직이라는 점에서는 일치한다.

2, 조선시대 도평의사사·중추원·돈녕부·의금부 등 1품에서 3품까지의 관직.
3. 조선 말기 법부(法部)의 관직.

판삼사사 (判三司事) ; 1. 고려시대 중앙과 지방의 돈과 곡식 출납을 회계하는 업무를 담당하던 삼사의 장관이다. 종일품으로 재신(宰臣)이 겸하였다.
2. 조선(朝鮮) 시대(時代) 초기(初期) 삼사의 종1품(從一品) 벼슬.
판서 (判書) ; 1. 고려후기 각 관청의 6조(六曹)의 으뜸벼슬로 정 3품관.
2. 조선시대 육조의 정2품 장관직. 상서(尙書)·전서(典書)·정경(正卿)이라고도 하였다.
판원사 (判院事) ; 고려시대 중추원(中樞院) 소속의 종 2품의 관직. ①판추밀원사(板樞密院事) ②판한림원사(判翰林院事) ③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
판윤 (判尹) ; 조선시대 한성부(漢城府)의 으뜸벼슬로 정 2품의 관직.
판임관 (判任官) ; 조선 말기 관료의 최하 직계(職階). 문관의 경우 각부아문(各府衙門)의 하급 주사 등이, 무관의 경우 부위(副尉)·참위(參尉) 등 위관급이 여기에 해당되었다.
판전교시사 (判典校寺事) ; 고려시대 전교시(典校寺)의 으뜸벼슬로 정 3품의 관직.
판종부시사 (判宗簿寺事) ; 고려시대 및 조선 태조 연간 종부시의 정3품 장관직.
판종정경 (判宗正卿) ; 조선시대 종친부의 정1품 명예관직. 대개의 경우 승습(承襲)한 군(君)들이 겸임.
판중추부사 (判中樞府事) ; 조선시대 중추부의 종1품 관직. 문무당상관으로서 소임이 없는 사람들을 대우하는 기관이었다.
패두 (牌頭) : 조선시대 때 패(牌)를 거느리는 우두머리. 대개 군사의 역(役)을 감당하는 1패(牌)는 4, 50명 정도였음.
패자 (浿者) ; 고구려시대의 관명. 10관등 중 상가(相加)·대로(對盧)에 이은 제3위의 관등.
팽배 (彭排) : 호분위(虎賁衛)에 속한 잡종 군직.
편비 (褊裨) : 각 군영에 둔 부장(副將).
편수관 (編修官) ; 조선시대 춘추관의 관직. 사관(史官)의 하나로서 역사의 기록과 편찬을 담당. 품계는 정3품 당하관(堂下官)에서 종4품까지로서 의정부·홍문관·사헌부·사간원·승문원(承文院)·종부시(宗簿寺) 등의 해당 품계의 관원이 으레 겸임하였다.
평사 (評事) ; 신라시대 관직. 감찰 및 형옥(刑獄) 관계의 특수직에 속하였다. 본래는 좌(佐)라고 하였다.2. 조선 초기의 정6품 관직. 병마평사(兵馬評事)의 약칭이다. 병마절도사의 막하에서 군사조치에 참여하며 문부(文簿)를 관장하고 군자(軍資)와 고과(考課) 및 개시(開市) 등에 관한 사무를 담당하였다.
평장사 (平章事) ; 고려시대 문하부 소속의 정 2품의 벼슬. 내사시랑평장사.
평장정사 (平章政事) ; 1. 고려 말기에, 중서문하성에 속한 정이품 벼슬.
2. 고려 후기 원(元)에 의해 일본 원정을 위한 전방사령부로서 고려에 설치되었던 정동행성(征東行省)의 관직. 품계는 종1품,
포교 (捕校) ; 조선시대 서울의 좌·우포도청(左右捕盜廳)에 소속된 군관(軍官 : 將校). 경포교(京捕校)·경포(京捕) 또는 경교(京校)라고도 불렀다. 직제상으로는 포도청의 부장(部將)을 지칭. 서울과 근교의 치안을 담당, 지정된 구역내를 순찰하고 범법자들을 체포하였다.
포도대장 (捕盜大將) ; 조선시대 포도청(捕盜廳)에서 제일 으뜸가는 정 2품의 무관직. 포도청의 실질적인 책임자이다.
포쇄관 ; 조선시대 사고(史庫)의 서적들을 점검하고 햇빛과 바람을 쏘이던 일을 맡은 사관(史官).
표기대장군 (驃騎大將軍) ; 고려시대 무산계(武散階). 전체 29계 중에서 제1계로 종1품이었다.
풍상씨 (馮相氏) : 천문(天文)을 맡아 보는 관원.
풍저창수 (豊儲倉守) ; 정4품으로 풍저창(豊儲倉)의 으뜸 벼슬이다.
필도치 ; 1225년(고종 12) 최우(崔瑀)가 사제(私第)에 정방을 설치하고 인사를 사적(私的)으로 처리하였는데, 문사를 뽑아 들여 임원(任員)을 삼고 이를 필도치라 하였다. 3품이면 정색상서(政色尙書)라 하였고, 4품 이하이면 정색소경(政色少卿)이라 하였다.
필선 (弼善) ; 조선시대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소속의 정 4품의 벼슬. 주요직무는 세자의 강학(講學)에 참여하는 것이었다.
출처 : 하얀그리움
글쓴이 : 하얀그리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