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사

[스크랩] 고려,조선 관직과 담당 부서 아

똥하 2017. 9. 19. 04:34
고려,조선 관직과 담당 부서 ㅇ

자 료 / 하얀그리움

참고자료; 클릭 →
조선 시대 관직 품계      조선조 관직과 현직 비교       조선조 관직과 품계
조선실록,역사자료 단어 해설
바로가기
고려조의 관직변천표      

관청명

해        설

아전 (衙前) ; 조선시대 중앙과 지방의 각 관청에 근무하던 하급 관리.
악공 (樂工) ;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왕립음악기관에서 음악 연주를 담당하였던 전문음악인.
악사 (樂師) ; 원로음악인들로서 잡직(雜職)을 담당하였던 벼슬아치. 정6품, 종6품.
악생 (樂生) ; 장악원의 좌방(左坊) 소속. 아악만을 연주.
악정 (樂正) ; 고려와 조선시대 성균관에서 음악을 이론적으로 연구하는 일을 맡아 하던 벼슬.
안렴사 (按廉使) ; 고려시대 집아장관으로 절도사. 안찰사라고도 한다. 지금의 광역시장. 도지사.
안무사 (按撫使) ; 고려. 조선시대 지방에 파견되어 수령을 감찰하는 임시 외관직.
안인 (安人) ; 조선시대 외명부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종7품 작호(爵號).
안집사 (安集使) ; 고려시대 양계(兩界)에 파견되었던 지방 장관.
안태사 (安胎使) : 왕실(王室)의 태(胎)를 태실(胎室)에 안치(安置)하는 일을 맡은 관원.
안핵사 (按覈使) ; 조선 후기 지방에 사건이 발생시 이의 처리를 위하여 파견한 임시관직. 목사·군수 등 인접지역의 수령이 주로 임명되었다.
알자 (謁者) ; 고려시대 내알사(內謁司)·내시부(內侍府)에 두었던 관직. 내알사는 종5품, 내시부는 종7품.
암행어사 (暗行御史) ; 조선시대 왕의 측근의 당하(堂下 : 정3품 하계 통훈대부 이하) 관원을 지방군현에 비밀리에 파견한 왕의 특명사신.
압물관 (押物官) ; 조선시대 중국·일본과의 사행(使行) 왕래시에 수행한 각종 예물 호송관. 사역원(司譯院)의 역관들로서 임명.
압책관 (押冊官) ; 고려시대 국왕이 보내는 사절단의 일원.
압화사 (押花使) ; 고려시대 각종의 책봉례(冊封禮)를 행할 때 국왕이 보내는 사절단의 일원.
약장랑 (藥臟郞) ; 고려시대 동궁(東宮:세자가 기거하는곳)에 속한 정 6품의 관직.
약장승 (藥藏丞) ; 고려시대 동궁관(東宮官)위 정8품 관직. 세자의 보육·건강에 종사.
약점사 (藥店史) ;고려시대의 향리직(鄕吏職). 의료상담이나 질병치료, 약재의 구입·보관·판매 등을 담당 의료상담이나 질병치료, 약재의 구입·보관·판매 등을 담당.
양원 (良媛) ; 조선시대 세자궁(世子宮)의 종3품 내관(內官 : 세자의 후궁).
양제 (良娣) ; 조선시대 세자궁(世子宮)의 종2품 내관(內官 : 세자의 후궁).
어모교위 (禦侮校尉) ; 고려시대 종 8품의 위에 있는 무관품계(武官品階). 어모부위(禦侮副尉) ; 고려시대 무관의 위계제도. 8품 下.
어모장군 (禦侮將軍) ; 조선시대 정 3품 당하관 무관(武官) 품계(品階).
어사 (御事) ; 1) 고려시대 각 조(曹)의 장관. 2) 또는 수서원(修書院)의 장(長). 3) 고려 전기 서경(西京)의 관직.
어사대부 (御使大夫) ; 고려시대 정 3품으로 어사대(御史臺)의 장관. 조선 때 대사헌에 해당함.
어사잡단 (御使雜端) ; 고려시대 어사대(御史臺)에 속한 종 5품의 벼슬.
어사중승 (御使中丞) ; 고려시대 어사대(御史臺)에 속한 종 4품의 벼슬.
어영대장 (御營大將) ; 조선시대 어영청(御營廳)의 으뜸가는 벼슬로 종 2품의 무관직.
어영사 (御營使) ; 조선시대 어영군에게 화포(火砲) 등을 연습시키던 군직.
어영장군 (御營將軍) ; 조선시대 어영청(御營廳)의 당관(將官)으로 종 4품의 무관직.
여과 (勵果) ; 조선시대 서반 정6품의 토관직.
여력도위 (勵力徒尉) ; 조선시대 서반 토관계(土官階) 정9품의 위호(位號).
여령 (女伶) ; 궁중의 각종 연희(演戱)에서 궁중내연(宮中內宴)의 춤과 노래를 맡아 거행하던 여자.
여맹 (勵猛) ; 조선시대 서반 정8품 토관직.
여수 (旅帥) ; 조선시대 5위 부대조직의 하나인 여(旅)의 책임 관직. 여(旅)는 1백 25명의 군사 단위. 장건부위(壯健副尉)로 종8품.
여신대위 (勵信隊尉) ; 조선시대 서반 토관계(土官階) 종6품의 위호(位號).
여용 (勵勇) ; 조선시대 서반 정9품 토관직(土官職).
여절교위 (勵節校尉) ; 조선시대 무신 종6품 상계(上階)의 품계.
여정 (勵正) ; 조선시대 서반 정7품 토관직(土官職).
여직 (勵直) ; 조선시대 서반 정5품의 토관직.
여직랑 (勵職郎) ; 조선시대 동반(東班) 잡직의 정6품 하계(下階)의 위호(位號).
여충대위 (勵忠隊尉) ; 조선시대 서반 토관계(土官階) 종5품의 위호(位號).
역관 (譯官) ; 고려·조선시대 통역 등 역학(譯學)에 관한 일을 담당했던 관직.
역리 (驛吏) ; 역(驛)에 소속되어 신역(身役)의 하나인 역의 제반 업무를 담당하던 아전(衙前)·이서(吏胥).
역학 (譯學) ; 조선시대 종 9품으로 번역. 통역을 맡은 관리. 역학
훈도 (譯學訓導) ; 조선시대 외국어 통역 및 교육을 담당하던 종9품 관직.
염문사 (廉問使) ; 고려시대 지방관리의 재판행정을 감독하기위해 파견한 2품 관직.
(令) ; 1) 신라시대의 각 부의 장관. 2) 고려 때 3품∼9품 관직. 3) 조선 때 종 5품 관직.
영경연사 (領經筵事) ; 조선시대 삼의정이 겸직한 문반 관직. 대개 영의정·좌의정·우의정 3인이 겸하였다.
영관 (伶官) ; 고려시대 음악을 관장하였던 악관(樂官)의 칭호. 국가적 행사 때 당악이나 향악의 연주를 지휘.
영관상감사 (領觀象監事) ; 조선시대 관상감 소속의 정1품 관직. 영의정이 당연직으로 겸임.
영도첨의 (領都僉議) ; 고려시대 수상(首相)금의 관직. 영도첨의부사(領都僉議府使)의 약칭. 도첨의부의 으뜸 벼슬.
영돈령부사 (領敦寧府事) ; 조선시대 영돈령(領敦寧). 돈령부(敦寧府)의 장으로 정 1품의 관직.
영렬대부 (榮列大夫) ; 고려 문관의 정4품 관직.
영록대부 (榮祿大夫) ; 고려시대 종 2품의 문산계(文散階).
영사 (領事) ; 1) 고려 시대 여러 관청의 으뜸 벼슬. 조선시대 주요관서의 정1품 관직,
영사복시사 (領司僕侍事) ; 고려시대 종 2품의 벼슬로 복시사(僕侍事)의 으뜸 벼슬.
영선공사사 (領繕工寺事) ; 고려시대 선공사(繕工司)의 장(長)으로 종 2품의 관직.
영원장군 (寧遠將軍) ; 고려시대 정 5품의 무산계(武散階:무신의 품계).
영의정 (領議政) ; 조선시대 의정부(議政府)의 최고관직, 정 1품. 백관을 통솔하고 서정(庶政)을 감독. 지금의 국무총리와 같다.
영인 (令人) ; 조선시대 외명부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종4품 작호(爵號).
영종정경 (領宗正卿) ; 조선 말기 종친부(宗親府)의 명예관직. 정1품을 초월한 숭품이었다.
영중추부사 (領中樞府事) ; 조선시대 중추부(中樞府)에 두었던 정1품 관직. 일종의 명예직.
영직 (影職) : 실제로 근무하지 아니하고, 다만 품계를 받기 위하여 임명한 뒤 곧 사직하는 벼슬.
영춘추관사 (領春秋館事) ; 고려와 조선시대 춘추관(春秋館)의 으뜸벼슬로 영의정이 겸했다.
영홍문관사 조선시대 홍문관(弘文館)의 으뜸벼슬로 정 1품의 관직.
예속 ; 고구려의 관직명. 제형(諸兄)에 비정되기도 한다. 14관등 중 제12위의 관등
예의판서 (禮儀判書) ; 고려시대 예의사(禮儀司)의 으뜸벼슬로 정 3품의 벼슬.
오위 (伍尉) ; 고려시대 정9품 무관직. 하급 지휘관.
오위장 (五衛將) ; 조선시대 오위(五衛)의 으뜸가는 종 2품 벼슬. 후에 정 3품.
오졸 (烏拙) ; 고구려시대의 관명. 12관등 가운데 제6위.
온인 (溫人) ; 조선시대 외명부인 종친처에게 내린 정·종5품 작호(爵號).
옹주 (翁主) ; 왕의 후궁의 딸. 품계를 초월한 외명부이다.
왕손교부 (王孫敎傅) ; 1756년(영조 32) 왕손의 교육을 위하여 설치한 종9품 관직.
왕자사부 (王子師傅) ; 조선시대 왕자의 교육을 맡았던 종9품 관직. 재직기간 900일이 지나면 6품관으로 승급되었다.
왜학훈도 (倭學訓導) ; 조선시대 사역원의 왜학생도(倭學生徒)를 가르치던 정·종 9품관직.
외지제교 요도(瑤圖) : 아름다운 계획.
(外知製敎) ; 조선시대 왕에게 교서(敎書) 등을 기초하여 바치는 일을 담당한 관직.
요무교위 (耀武校尉) ; 고려시대 정 6품 상계(上階)의 무산계(武散階).
우간의대부 (右諫議大夫) ; 고려시대 문하성의 정4품 관직. 후에 정3품 당상관으로 승격.
우권독 (右勸讀) ; 조선시대 세손강서원(世孫講書院)의 종5품 관직. 세손의 교육을 담당.
우대언 (右代言) ; 1) 고려시대 밀직사(密直司) 소속의 정 3품 관직.2) 조선때 승정원(承政院) 소속의 정 3품 벼슬.
우도승록 (右都僧錄) ; 고려시대 우가승록사(右街僧錄司)의 최고위 승직(僧職). 주요업무로는 관할지역내 사찰의 창건·수리, 국사·왕사의 의전(儀典)등.
우림위장 (羽林衛將) ; 조선(朝鮮) 시대(時代) 때 정3품 무관 우림위의 장.
우반전직 (右班殿直) ; 고려시대의 남반(南班) 종8품의 관직. 액정국에 속하여 왕명을 전달하고, 붓·벼루·궁궐의 열쇠 따위를 담당.
우보궐 (右補闕) ; 고려시대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 소속의 정 6품 벼슬. 간쟁·봉박(封駁) 등을 담당. 2) 조선 초기 문하부에 소속된 종5품 관직.
우복야 (右僕射) ; 1) 고려시대 상서도성(尙書都省)에 소속되어 상서영(尙書令) 다음 가는 정 2품의 관직. 2) 조선 초기 삼사(三司)에 소속된 종 2품의 벼슬.
우부대언 (右副大言) ; 1) 고려시대 밀직사(密直司). 2) 조선 때 승정원(承政院)에 소속된 정 3품.
우부빈객 (右副賓客) ; 조선시대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 소속된 종 2품의 벼슬. 세자의 교육을 담당. 타관(他官)이 겸직.
우부수 (右副수) ;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에 소속된 정 7품의 무관직. 왕세자의 시위를 맡아보던 관직.
우부승록 (右副僧錄) ; 고려시대 불교통제기구인 우가승록사(右街僧錄司)의 승직(僧職). 사찰의 조성·수리와 국사·왕사의 의전(儀典)에 관한 일을 관장.
우부승선 (右副承宣) ; 1) 고려시대 중추원의 정3품 관직. 2) 조선 말기의 관직.정일품에서 종일품 칙임관.
우부승지 (右副承旨) ; 1) 고려시대 밀직사(密直司) 소속 정3품의 관직. 2) 조선시대 중추원·승정원·승추부(承樞府)의 정3품 당상 관직.
우부승직 (右副承直) ; 고려시대 내시부(內侍府)에 속한 종 6품의 관직.
우빈객 (右賓客) ; 조선시대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 속한 정 2품의 관직.
우사 (右使) ; 고려 조선시대 삼사에 속한 정 2품의 벼슬. 2) 조선 초기 삼사에 소속된 정2품 관직.
우사간 (右司諫) ;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정6품 관직.
우사낭중 (右司郎中) ; 고려시대 상서도성(尙書都省)에 소속된 정 5품의 벼슬.
우사보 (右思補) ; 고려시대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에 소속한 관직.
우사어 (右司禦) ; 조선시대 세자익위사 소속의 종 5품의 무관. 왕세자를 호위, 시종.
우사원외랑 (右司員外郞) ; 고려시대 상서도성(尙書都省)에 소속된 정 6품의 벼슬.
우상시 (右常侍) ; 고려시대 중서문하성 소속의 정 3품의 벼슬. 간쟁(諫諍)·봉박(封駁)을 담당.
우서자 (右庶子) ; 고려시대 동궁(東宮 : 太子宮)에 소속한 정4품 관직.
우세마 (右洗馬) ;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정9품 관직. 왕세자를 배호(陪扈).
우습유 (右拾遺) ;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정육품 낭사 벼슬.
우승 (右丞) ; 1) 고려시대 상서도성의 종 3품의 벼슬. 2) 조선 초 삼사의 정 3품의 벼슬.
우승선 (右承宣) ; 1) 고려시대 중추원(中樞院 : 樞密院)의 정3품 관직. 2) 조선 말기의 관직.
우승유 (右僧維) ; 고려시대 우가승록사(右街僧錄司)의 최말단 승직(僧職).
우승정 (右僧正) ; 고려시대의 우가승록사(右街僧錄司)의 승직(僧職). 승과에 합격하여 승계(僧階)를 받은 승려가 임용되었다.
우승지 (右承旨) ; 1) 고려시대 밀직사(密直司) 소속의 정3품 관직. 2) 조선시대 승정원의 정3품 당상관직.
우승직 (右承直) ; 고려시대 내시부(內侍府)에 속한 종 5품의 벼슬.
우시금 (右侍禁) ; 고려시대 액정국 소속의 정 8품의 벼슬. 왕명을 전달하고 궁궐의 열쇠 따위를 담당.
우시중 (右侍中) ; 1) 고려시대 도첨의부(都僉議府)에 소속한 관직. 2) 조선(朝鮮) 초기(初期)에 문하부(門下府)의 으뜸 벼슬.
우시직 (右侍直) ;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에 소속된 정 8품의 무관직.
우위수 (右衛率) ; 1) 고려시대 춘방원(春坊院)의 정5품 무관직. 2)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종6품 무관직. 세자의 배위(陪衛 )를 담당.
우유덕 (右諭德) ; 고려시대 동궁(東宮 : 太子宮)에 소속한 정4품 관직. 태자의 교육 담당.
우유선 (右諭善) ;조선시대 세손강서원의 3품~2품 관직.
우윤 (右尹) ; 조선시대 한성부(서울시청)에 소속된 종 2품의 관직.
우의정 (右議政) ; 조선시대 최고행정 기관인 의정부에 소속된 정 1품의 벼슬로 백관(百官)을 통솔하고 서정(庶政)을 총괄하며 여러 관직을 겸함.
우익선 (右翊善) ; 1) 고려시대의 세자부·왕자부에 정5품 관직. 2) 조선시대 세손강서원(世孫講書院)의 종4품 관직. 세손의 교육을 담당했다.
우익위 (右翊衛) ; 조선시대 세자익위사 소속의 정 5품의 무관 벼슬. 왕세자를 배종·호위하는 일을 담당.
우익찬 (右翊贊) ; 조선시대 세자익위사 소속의 정 6품의 무관 벼슬. 왕세자를 호위.우익위가 개칭됨.
우자의 (右諮議) ; 조선 초기 삼사에 소속된 정4품 관직. 백관의 녹봉지급, 국용의 회계에 관한 실무를 관장.
우장사 (右長史) ; 조선시대 세손위종사(世孫衛從司)에 소속된 종6품 무관직. 왕세손의 배종호위(陪從扈衛 : 곁에서 호위를 함.)를 담당.
우정승 (右政丞) ; 고려시대 도첨의부(都僉議府)에 소속한 1품 으뜸 벼슬.
우정언 (右正言) ; 고려시대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에 소속한 6품 관직.
우종사 (右從史) ; 조선시대 세손위종사(世孫衛從司)에 소속된 종7품 관직. 왕세손의 배종호위(陪從扈衛 : 곁에서 호위함.)를 담당.
우찬독 (右贊讀) ; 조선시대 세손강서원(世孫講書院)의 종6품 관직. 세손의 교육을 담당.
우찬선대부 (右贊善大夫) ; 고려 중기의 정5품 동궁관(東宮官).
우찬성 (右贊成) ; 조선시대 의정부에 속한 벼슬로 삼의정(영의정. 우의정. 좌의정) 다음가는 벼슬로 종 1품의 벼슬.
우참찬 (右參贊) ; 조선시대 의정부(議政府) 소속의 정 2품의 관직.
우첨사 (右詹事) ; 1) 고려시대 왕비부(王妃府 )에 예속된 관직. 2) 고려 시대에, 동궁에 속한 정삼품 벼슬.
우태 (優台) ; 고구려시대의 관명. ‘우태(于台)’로도 표기되어 있다. 원래 연장자·족장을 의미하는 말이었으나, 고구려의 관계명(官階名)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우통례 (右通禮) ; 조선시대 통례원(通禮院)의 정3품 당하관직. 통례원의 차관.
우헌납 (右獻納) ; 고려시대 정5품 관직. 도첨의사사(都僉議使司)·도첨의부(都僉議府)·문하부 등에 소속.
우후 (虞候) : 조선시대 절도사의 막료 종3품~ 정4품 무관관직.
운검 (雲劍) ; 조선시대 임금의 좌우에 서서 호위하는 2품 이상의 임시 관직.
운휘대장군 (雲麾大將軍) ; 고려시대 정 3품의 무산계(武散階).
울절 (鬱折) ; 고구려시대의 관명. ≪신당서≫에는 2품직으로, ≪한원≫에는 3품직으로 나오고 있다.
원보 (元輔) ; 영의정(領議政)의 별칭.
원보 (元甫) ; 1) 고려시대의 4품 하계(下階) 향직(鄕職). 2) 고려 전기의 정4품 관직.
원사 (院使) ; 고려시대 중추원(中樞院) 소속의 종 2품의 벼슬.
원상 (院相) ; 조선시대 어린 임금을 보좌하며 정사를 다스리던 관직.
원외랑 (員外郞) ; 고려시대 각 기관의 정 6품의 관직. 중앙 행정관직.
원윤 (元尹) ; 1)고려 전기의 정5품 관직. 2) 고려시대 왕족에게 수여된 품직(品職).
원접사 (遠接使) ; 조선시대 명나라와 청나라의 사신을 맞아들이던 관직 또는 그 관원. 2품관 중에서 문명과 덕망이 있는 이를 조정에서 선발.
원체아 (元遞兒) ; 조선시대 사역원(司譯院) 소속의 연경에 사행이 있을 때 수행하는 역관.
(尉) ; 고려시대 정 9품의 무관직(武官織).
위리 (委吏) : 곡식 창고외 출납을 맡은 벼슬아치.
유격장군 (遊擊將軍) ; 고려시대 종 5품하계(下階)의 무산계(務散階). 요무(要務) 장군(將軍)의 위. 유기(遊騎) 장군(將軍)의 아래.
유기장군 (遊騎將軍) ; 고려시대 종 5품상계(上階)의 무산계(務散階).
유덕대부 (綏德大夫) ; 조선시대 종친에게 주었던 종 1품계(品階).
유림랑 (儒林郎) ; 고려시대 문관 정9품의 관직.
유선 (諭善) ; 조선시대 세손강서원(世孫講書院)의 종2품~3품관직. 당하(堂下) 삼품에서 종이품 사이의 사람으로 임명.왕세손의 교육을 담당.
유수 (留守 ) ; 1) 고려시대 유수경(留守京)의 장관. 정2~3품관. 2) 조선시대 종2품 외관직.
유원장군 (柔遠將軍) ; 고려시대 여진인(女眞人)에게 주던 관직.
유인 (孺人) ; 조선시대 외명부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종9품 작호(爵號).
유학제거사 (儒學提擧司) ; 고려후기 원나라가 설치한 정동행성(征東行省)의 속관(屬官).
율학교수 (律學敎授) ; 조선시대 형조. 율학청(律學廳)에서 법률을 연구하던 종 6품직.
율학박사 (律學博士) ; 고려시대 상서형부(尙書刑府)와 국자감(國子監)에 소속된 종 8품직.
율학훈도 (律學訓導) ; 조선시대 형조. 율학청(律學廳)에 소속된 정 9품의 관직.교육을 담당.
은청광록대부 (銀靑光祿大夫) : 문관의 정3품, 정2품 상(上) 품관.
은청영록대부 (銀靑榮祿大夫) ; 고려시대 문관의 정2품 하계(下階) 품관.
은청흥록대부 (銀靑興祿大夫) ; 고려시대 문관의 정3품 품관.
응교 (應敎) ; 1)고려 예문춘추관에 속한 정 5품의 관직. 2)조선 때 홍문관. 예문관에 속한 정 4품의 벼슬.
응사 (鷹師) : 매을 길들이거나 부리는 일을 맡아 보던 관원
의덕대부 (宜德大夫) ; 조선시대 문관과 종친에게 주는 종 1품의 관계(官階).
의동삼사 (儀同三司) ; 고려시대 정 1품 하(下)의 문산계(文散階). 후에 삼중대광으로 개칭.
의관 (議官) ; 조선 말기 중추원(中樞院)에 소속된 관직.
의랑 (議郎) ; 1)고려 말 육부나 육조에 소속된 정4품의 관직.의랑은 차관으로서 장관인 전서나 상서를 보좌. 2) 조선 초의 육부나 육조에 소속된 정4품의 관직. 차관으로서 장관인 전서를 보좌.
의빈 (儀賓) ; 조선시대 부마(駙馬)의 관부인 의빈부(儀賓府)의 정1품·종1품 관직.
의약동참 (議藥同參) ; 조선시대 내의원(內醫院) 소속의 의관. 당상관·당하관. 어의(御醫)라 칭했다.
의영고 영 (義盈庫令) ; 호조(戶曹)에 속하여 기름, 꿀, 후추 따위의 공급, 관리를 맡아보던 관아 의영고(義盈庫)의 장(長)으로 종5품.
의인 (宜人) ; 조선시대 외명부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종6품 작호(爵號).
의정 (醫正) ; 고려시대 태의감(太醫監)의 종9품 관직.
의정관 (議政官) ; 조선 말기 일제의 침략과정에서 임시로 설치된 관직.
의정대신 (議政大臣) ; 1896∼1907년간에 설치되었던 의정부의 수석대신. 현재의 국무총리격이다.
의좌 (醫佐) ; 고려시대에 왕의 약을 조제하던 상약국(尙藥局)의 정9품 관직.
의침사 (醫針史) ; 고려시대의 유외(流外 : 品外) 서리직(胥吏職).
의학박사 (醫學博士) ; 고려시대에 의학교육을 담당하던 종8품 관직.
이마 (理馬) ; 사복시(司僕寺)에 소속된 정6품 잡직.
익례 (翊禮) ; 조선시대 통례원(通禮院)에 소속되어 의식을 맡아본 종 3품직.
이마 (理馬) ; 조선 후기의 관직. 궁중의 마필(馬匹)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벼슬로 정6품.
이사 (貳師) ; 조선시대 세자시강원의 종1품 관직.
이속 (吏屬) ; 고려·조선 시대의 품관(品官) 이외의 하급 관리직.
이습관 (肄習官) ; 조선시대 특수 전문지식을 연마시키기 위하여 설치한 관직.
이정 (里正) : 지방 동리에서 호적, 기타의 공공 사무를 맡아 보던 사역(使役)의 하나. 이임(里任).
익례 (翊禮) ; 조선시대 통례원(通禮院)의 종3품 관직이다. 정원은 1인이다. 국가의 의식(儀式)을 관장,
익선 (翊善) ; 1) 고려 후기 정5품 동궁관(東宮官). 2) 조선시대 세손강서원(世孫講書院)의 종4품 관직.
익위 (翊衛) ;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정5품 관직.
익위교위 (翊威校尉) ; 고려시대 무관의 종6품 상계(上階) 관직.
익찬 (翊贊) ;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에 소속되어 세자를 호위한 정 6품의 무관직.
익휘부위 (翊麾副尉) ; 고려시대 종 7품하(下)의 무산계(武散階). 상은 익위교위(翊衛校尉)
인가 (引駕) ; 고려시대의 관직. 의장행렬에서 어가(御駕)를 안내하였던 직책.
인부랑 (印符郎) ; 고려시대 인부(印符)를 관장하던 종6품 관직.
인용교위 (仁勇校尉) ; 고려시대 무관의 정9품 상계(上階) 관직.
인용부위 (仁勇副尉) ; 고려시대 무관의 정9품 하계(下階) 관직.
인의 (引儀) ; 조선시대 통례원 소속의 종 6품의 벼슬.
인장교 (引將校) ; 고려시대의 관직. 의장행렬시 방각모(放角帽)에 자의(紫衣)를 입고, 칼을 차고 기를 들고 행렬을 따랐다.
인직 (印直) ; 고려시대 서경(西京)의 관직.
인진부사 (引進副使) ; 고려시대 합문(閤門)에 소속된 종 5품의 관직. 합문(閤門) : 朝會의 의례를 맡았던 관아.
인진사 (引進使) ; 고려시대 합문(閤門 )에 소속된 정 5품의 관직. 합문(閤門) : 朝會의 의례를 맡았던 관아.
일수 (日守) : 조선시대 지방의 서반아전. 지방 관청에 딸려 천한 일을 하던 하인들. 입거체찰사
입거체찰사 (入居體察使) : 북도(北道) 지방에 남도(南道)의 백성을 이주(移住)시키는 사무를 맡아보던 임시 직책. 조선 중종 때 세운 입거청(入居廳)에 으뜸벼슬.
출처 : 하얀그리움
글쓴이 : 하얀그리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