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사

[스크랩] 고려,조선 관직과 담당 부서 ㄴ

똥하 2017. 9. 19. 04:31
고려,조선 관직과 담당 부서 ㄴ

자 료 / 하얀그리움

참고자료; 클릭 →
조선 시대 관직 품계      조선조 관직과 현직 비교       조선조 관직과 품계            고려조의 관직변천표      
※ 자세한 자료는 아래 클릭
조선실록,역사자료 단어 해설
바로가기

관청명

해        설

나력의 (瘰癧醫) ; 조선시대 연주창이라 생각되는 질병을 전문적으로 다스리던 의인(醫人).
나인 (內人) ; 궁중에서 왕족의 사생활을 시중하던 여관(女官)의 총칭.
나장 (羅將) : 조선시대 병조 소속의 중앙 서리. 죄인을 잡아들이거나 이를 문초할 때 매를 때렸으며, 귀양가는 죄인을 압송(押送)하는 일도 하였음.
(男) ; 고려시대 봉작(封爵)의 등급. 남작(男爵)은 공훈(功勳) 있는 일반 신하에게만 수여되었는데, 작위로는 가장 하위의 등급이었다.
남반 (南班) ; 고려시대 내관직.
남영사 (南營使) ; 조선 말기 친군남영(親軍南營)의 장(長) 무관직.
낭관 (郎官) ; 육조(六曹)에 사(司)의 실무책임을 맡은 정5품 정랑(正郎)과 정6품 좌랑(佐郎)의 통칭.
낭사 (郎舍) ; 고려시대 문하성(門下省)에 소속된 간관(諫官)의 총칭.
낭장 (郎將) ; 고려시대 정 6품의 무관직.중앙군조직에서 중랑장 바로
낭중 (郎中) ; 1)신라시대 관직으로 사지(舍知:13등급)에서 내마(奈麻:11등급)까지 역임. 2)고려시대 6부(六部)에 소속된 정 5품의 벼슬. 3)3) 신라 말·고려 초 지방의 독자세력인 ‘성주(城主)’나 ○>장군(將軍)’을 칭한 호족의 아래에 소속한 직명.
낭청 (郎廳) ; 조선시대 비변사(備邊司)에 속한 종 6품의 관직. 품계는 보통 종6품으로 규정되어 있으나 정3품 당하관부터 종9품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임명. 2) 조선 후기 실록청·도감(都監) 등의 권설아문(權設衙門 : 임시기구)에 각 관서로부터 차출, 겸임시켰던 당하관 실무관직. 3) 본래 낭관(郎官)과 같은 뜻으로 각 관서의 당하관을 지칭하였다.
내급사 (內給事) ; 1)고려시대 전중성(殿中省)에 소속된 종 6품의 벼슬. 2) 1356년(공민왕 5) 7월에 설치한 환관직(宦官職).
내반종사 (內班從事) ; 고려시대 내알사(內謁司)의 종9품 관직.
내사령 (內史令) ; 고려 전기 왕명출납을 담당하던 내사성(內史省)의 장관 종1품.
내사사인 (內史舍人) ; 고려시대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에 소속된 종 4품의 벼슬. 봉박(封駁)과 간쟁(諫諍)을 담당
내사시랑평장사 (內史侍郞平章事) ; 고려시대 문하부(門下府) 소속의 정 2품 벼슬.
내사주서 (內史注書) ; 고려 전기의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의 종7품 관직.
내상시 (內常侍) ; 고려 후기에 설치하였던 고위 환관직.
내서사인 (內書舍人) ; 고려 공민왕 때 도첨의부(都僉議府)의 종4품 관직.
내승 (內乘) ; 1) 고려 말기에 궁중의 가마를 맡아보던 관청. 2) 고려 말까지 있었던 내승도감(內乘都監)에 소속되었던 관원. 3) 조선 초에 설치한 내사복시(內司僕寺)에서 말과 수레를 맡아보던 벼슬.
내승별감 (內乘別監) ; 고려(高麗) 때 임금의 말 타는 일을 맡아보던 벼슬.
내승직 (內乘直) ; 고려(高麗) 공민왕(恭愍王) 때의 환관(宦官)의 한 벼슬.
내시 (內侍) ; 1) 고려시대 숙위(宿衛) 및 근시(近侍)의 일을 맡던 관원. 2) 조선시대 궐내의 잡무를 맡아보던 내시부의 관직.
내시교관 (內侍敎官) ; 조선시대 내시들을 교육하고 훈도하는 책임을 맡았던 종9품의 관리.
내시백 (內侍伯) ; 고려시대 액정국(掖庭局)의 정7품 관직.
내시사 (內侍使) ; 고려 충선왕 때 관제 제헌(提憲)의 종5품 관직.
내신좌평 (內臣佐平) ; 백제시대의 1품 관직. 시중(侍中)과 같은 수상(首相)과 같다.
내알자 (內謁者) ; 고려시대 액정국의 종8품 관직.
내알자감 (內謁者監) ; 고려시대 액정국(掖庭局)의 정6품 관직.
내의 (內醫) ; 조선시대 내의원(內醫院) 소속의 당하(堂下) 의관.당상(堂上) 의관은 어의(御醫)라 하였다. 어약(御藥) 조제를 담당.
내의사인 (內議舍人) ; 고려 초기 정사 논의의 관청으로 추측되는 내의성의 관원.
내전숭반 (內殿崇班) ; 고려시대 정7품 남반직(南班職). 우두머리 관직으로 정원은 4인.
내지제고 (內知制誥) ; 고려시대 문한관(文翰官)인 지제고 중 성랑(省郎)으로서 겸임한 관직.
내지제교 (內知製敎) ; 조선시대 집현전·홍문관 관원이 당연직으로 겸직한 지제교.
내직 (內職) ; 고려·조선시대 궁내의 여성들과 문무관처 등에게 내린 관직.
내직랑 (內直郞) ; 고려시대 동궁(東宮:세자의 거처)에 소속된 종 6품의 벼슬.
내취 (內吹) ; 조선 후기 선전관청(宣傳官廳)에 소속된 악인.
내평 (內評) ; 고구려시대의 관직.
녕원장군 (寧遠將軍) : 정5품의 무산계(武散階 : 무신의 품계.
노비색 (奴婢色) ; 조선 초기 노비에 관한 업무를 담당한 임시관직.
노인직 (老人職) ; 조선때 양인이나 천인을 막론하고 80세 이상된 노인에게 제수하던 산직(散職).
녹관 (祿官) : 전임직(專任職)으로 봉록을 받는 관원,
녹사 (錄事) ; 1) 고려시대 정 5품의 무관 벼슬. 2) 조선 때 각 관아에 속한 하급이속(吏屬). 3) 고려와 조선 초기에 중앙의 여러 관서에 설치된 하위관직. 4) 조선시대 중앙 관서의 상급 서리직 관직.
농무별감 (農務別監) ; 고려시대에 농우(農牛)와 농기(農器)를 징수하였던 임시직.
뇌자 (牢子) ; 조선시대 각 군영에 소속되어 있던 특수군인. 죄인을 문초, 구금하거나 형벌을 집행하는 일을 맡았고, 훈련도감의 뇌자들은 왕의 행차 때 경호에 참가하기도.
누초 (婁肖) ; 고구려시대의 지방관직.
출처 : 하얀그리움
글쓴이 : 하얀그리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