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1학년 한자
전라남도에서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이 배우는 한자입니다.
첨부파일 열어서 프린팅하여 사용하세요.
초등한자-1학년(11,12급)-전라남도교육청.hwp
1학년 지도 자료 (12, 11급)
가. 12급 한자
순 |
한자 |
훈 |
음 |
간체자 |
순 |
한자 |
훈 |
음 |
간체자 |
1 |
一 |
한 |
일 |
|
26 |
父 |
아비 |
부 |
|
2 |
二 |
두 |
이 |
|
27 |
母 |
어미 |
모 |
|
3 |
三 |
석 |
삼 |
|
28 |
兄 |
맏 |
형 |
|
4 |
四 |
넉 |
사 |
|
29 |
弟 |
아우 |
제 |
|
5 |
五 |
다섯 |
오 |
|
30 |
學 |
배울 |
학 |
學 |
6 |
六 |
여섯 |
육 |
|
31 |
校 |
학교 |
교 |
|
7 |
七 |
일곱 |
칠 |
|
32 |
敎 |
가르칠 |
교 |
|
8 |
八 |
여덟 |
팔 |
|
33 |
室 |
집 |
실 |
|
9 |
九 |
아홉 |
구 |
|
34 |
國 |
나라 |
국 |
國 |
10 |
十 |
열 |
십 |
|
35 |
軍 |
군사 |
군 |
軍 |
11 |
百 |
일백 |
백 |
|
36 |
大 |
큰 |
대 |
|
12 |
千 |
일천 |
천 |
|
37 |
門 |
문 |
문 |
門 |
13 |
萬 |
일만 |
만 |
万 |
38 |
先 |
먼저 |
선 |
|
14 |
日 |
해 |
일 |
|
39 |
生 |
날 |
생 |
|
15 |
月 |
달 |
월 |
|
40 |
人 |
사람 |
인 |
|
16 |
火 |
불 |
화 |
|
41 |
力 |
힘 |
력 |
|
17 |
水 |
물 |
수 |
|
42 |
江 |
강 |
강 |
|
18 |
木 |
나무 |
목 |
|
43 |
山 |
뫼 |
산 |
|
19 |
金 |
쇠 |
금 |
|
44 |
上 |
위 |
상 |
|
20 |
土 |
흙 |
토 |
|
45 |
下 |
아래 |
하 |
|
21 |
東 |
동녘 |
동 |
東 |
46 |
男 |
사내 |
남 |
|
22 |
西 |
서녘 |
서 |
|
47 |
女 |
계집 |
여 |
|
23 |
南 |
남녘 |
남 |
|
48 |
王 |
임금 |
왕 |
|
24 |
北 |
북녘 |
북 |
|
49 |
子 |
아들 |
자 |
|
25 |
中 |
가운데 |
중 |
|
50 |
白 |
흰 |
백 |
|
나. 한자 해설
漢字
(간체자) |
訓과 音
(부수, 획수) |
活用 낱말 |
解 說 |
一 |
한 일 |
一等, 第一 |
가로 그은 획으로‘하나’를 나타냄 |
一, 1 |

|
二 |
두 이 |
二重, 第二 |
위의 一은 하늘(天). 아래의 一은 땅(地)의 뜻으로 一을 나란히 놓아‘하늘과 땅’둘을 나타냄 |
二, 2 |

|
三 |
석 삼 |
三面, 再三 |
一+二→三. 天 地 人의 道라고 한다. 三 이상의수는‘많다’를 뜻함 |
一, 3 |

|
四 |
넉 사 |
四方, 四書 |
囗는 사방과 사우를 뜻하고 八은 나눈다는 뜻. 사방과 사우를‘네 부분으로 나눈다’라는 뜻으로‘넷’을 뜻함 |
囗, 5 |

|
五 |
다섯 오 |
五色, 五福 |
二+ . 二는 天과 地를 가리키는데 천은 양, 지는 음이다. 는 이것이 서로 합함을 의미한다. 水, 火, 木, 金, 土 五行을 의미하여‘다섯’을 뜻함 |
二, 4 |

|
六 |
여섯 육 |
六法, 六年 |
亠+八. 亠는 入을 뜻하며 짝수의 기본수에서 가장 큰 八에서 한 걸음 더 들어간 수‘여섯’임을 나타냄 |
八, 4 |

|
漢字
(간체자) |
訓과 音
(부수, 획수) |
活用 낱말 |
解 說 |
七 |
일곱 칠 |
七夕, 七顚八起 |
陽의 바른 자리. 一은 지평선으로 땅 속에서 기가 나오는 모양을 형상화 했음 |
一, 2 |

|
八 |
여덟 팔 |
八方, 八道 |
사물이 둘로 나뉘어져 서로 등지고 있는 모양. 기본수 짝수 중에서 가장 큰 수이고 등지고 있어서‘배반한다’라는 뜻이 있음 |
八, 2 |

|
九 |
아홉 구 |
九年, 九月 |
구는 구곡의‘변화가 많은 모양’을 뜻하며, 基數의 끝 수. 九曲肝腸(구곡간장) |
乙, 2 |

|
十 |
열 십 |
十誡命, 十字架 |
丨은 남북, 一은 동서 즉, 동서남북이 모두 갖추어진 모양.‘10’을 나타냄 |
十, 2 |

|
百 |
일백 백 |
百年, 一當百 |
하나(一)에서 백까지(白) 소리쳐서 셈하니‘일백’을 뜻함. 일백. 모든. 힘씀 |
白, 6 |

|
千 |
일천 천 |
千金, 數千 |
머리와 가슴에 팔을 대고 있는 모습. 천. 많다. 아름다운 모양. 仟. 阡은 같은 자임 |
十, 3 |

|
漢字
(간체자) |
訓과 音
(부수, 획수) |
活用 낱말 |
解 說 |
萬
(万) |
일만 만 |
萬歲, 千萬 |
열대 지방의 응달에서 사는 전갈의 모양을 본 뜬 글자. 10000은 假借(가차)임. 크다. 전갈. 벌 |
艸, 13 |

|
日 |
날 일 |
日蝕, 終日 |
해의 모양을 그린 것이 발전한 글자. 둥근 모양이 글자로 되면서 네모로 변함 |
日, 4 |

|
月 |
달 월 |
月給, 滿月 |
달의 모양을 본 뜬 자. 태양은 언제나 가득 차 있기에‘日’자는 둥근 태양의 모양을 본 떴고, 달은 처음 초승달에서 차츰 만월이 되고 다시 이지러진 그믐달이 되기에 이지러진 달의 모양을 본 떴음 |
月, 4 |

|
火 |
불 화 |
火災, 防火 |
불이 활활 타오르는 모양. 灬은 불화 밑이라 함 |
火, 4 |

|
水 |
물 수 |
水力, 食水 |
물이 끊임없이 흐르는 모양. 역(易)에서 一은 양, 一 一은 음으로 괘(卦)를 나타내기 때문에 水 는 양을 가운데 두고 양쪽에 음이 있는 형상이다. 氵는 변으로 쓰이며 삼수변이라고 한다. 水가 발로 쓰일 때는 ■ |
水, 4 |

|
木 |
나무 목 |
木手, 植木 |
나무의 줄기(丨)와 가지(一)가 뿌리(八)로 버티고 서 있는 나무를 본 뜬 글자임 |
木, 4 |

|
漢字
(간체자) |
訓과 音
(부수, 획수) |
活用 낱말 |
解 說 |
金 |
성 김, 쇠 금 |
金氏, 現金 |
亼+土+ソ의 합자. 높고 깊은 산의(亼) 땅 속 흙(土)에 묻혔으면서 반짝이는 광석(ソ)은‘금’, ‘은’또는‘쇠’종류임 |
金, 8 |

|
土 |
흙 토 |
土地, 鄕土 |
위의 一은 지표, 아래의 一은 지중을 본 떴고, 丨은 지중에서 싹이 터 지표를 뚫고 자라는 식물을 뜻한다. 그래서 식물을 생육하는‘흙’을 뜻함 |
土, 3 |

|
東
(东) |
동녘 동 |
東方, 極東 |
日+木. 태양이 나무의 중간쯤에 있는 모양. 태양이 동쪽에서 떠올라 나무 사이에 보이는 형상으로 만물이 움직이기 시작할 때의 해의 방향을 나타내기에‘동쪽’을 뜻함 |
木, 8 |

|
西 |
서녘 서 |
西洋, 東西 |
弓은 새. 口는 새의 보금자리. 새가 보금자리에 듦을 의미하며 그 때는 해가 서쪽으로 질 무렵이므로‘서쪽’을 뜻함 |
襾, 6 |

|
南 |
남녘 남 |
南道, 湖南 |
남쪽으로 갈수록 (ソ 干) 초목이 무성해짐(十冂)을 나타내어 널리‘남쪽’을 뜻함 |
十, 9 |

|
北 |
북녘 북,
달아날 배 |
北方, 敗北 |
두 사람이 서로 등지고 있는 모양. 등지다. 달아나다. 比는 나란히 있는 모습 |
匕, 5 |

|
漢字
(간체자) |
訓과 音
(부수, 획수) |
活用 낱말 |
解 說 |
中 |
가운데 중 |
中間, 的中 |
사방을 두른 담 안에 물건을 넣는 모양. 어떤 물건의 한 가운데를 뚫은 모양 |
丨(곤), 4 |

|
父 |
아버지 부 |
父子, 伯父 |
又+1. 又는 손. 1은 채찍으로 채찍을 들고 가족을 거느리며 가르친다는 뜻으로 이는 가장인 아버지의 할 일이라는 데서‘아버지’를 뜻함 |
父, 4 |

|
母 |
어미 모 |
母親, 食母 |
毋는‘말 무’로‘말라’의 뜻. 女+一=母. 一은 숫자 1이 아니고 무엇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막아준다는 뜻. 여자가 자기의 몸을 지킨다는 형상을 한 글자. 자식에게 젖을 먹이고 있는 모습이라고도 함 |
毋, 4 |

|
兄 |
형 형 |
兄弟, 妹兄 |
口+儿=兄. 口는 신체 구조상 윗부분에 붙어있으면서 잠시도 쉬는 일이 없으므로 이에 儿(人)을 더하여 쉼없이 자라는 사람이라는 뜻. ‘늘다, 불어나다.’의 뜻이 있으며 여러 형제 중에서 맏이를 뜻함 |
儿, 5 |

|
弟 |
아우 제 |
弟子, 師弟 |
아우, 자기를 겸손하게 말할 때, 손잡이에 가죽을 감은 모양을 본 떠서‘차례, 순서’를 나타냄 |
弓, 7 |

|
漢字
(간체자) |
訓과 音
(부수, 획수) |
活用 낱말 |
解 說 |
學
(学) |
배울 학 |
學校, 放學 |
敎, 冂, 曰이 합해진 글자. 冂은 어린이를 뜻하므로‘어린’이는 가르침을 받아서 무지에서 벗어난다는 뜻. 또는 사리에 어두운(冖) 어린이들이(子) 양손에 책을 붙잡고 가르침을 본받아서 깨우치니‘배우다’라는 뜻임 |
子, 16 |

|
校 |
학교 교,
집 교 |
校門, 學校 |
아주 옛날 동굴에서 나온 사람들은 자기 가족이 비와 추위를 피하고 모여 살기 위해서 이리저리 나무 가지를 얽어 집을 지었다. 이렇게 나무(木)를 얽어(交 사귈 교) 지은 것이‘집’이요, 그곳에서 학생들을 바로잡아 가르치니‘학교’임 |
木, 10 |

|
敎 |
가르칠 교 |
敎育, 宗敎 |
耂(老)+子+攵(칠 복). 부모가 자식을 회초리로 바르게 인도하니 가르칠 교이며 孝는 자식이 부모를 위로하는 것이며, 부모가 있고 자식이 있으니 대를 잇는다는 뜻도 있음. 가르침의 가장 큰 덕목은‘효’를 뜻함 |
攵(칠복), 11 |

|
室 |
방 실 |
室內, 客室 |
宀+至. 사람이 이르러(至) 사는 집(宀)이라는 뜻. 至의 음이 변해 室(지→실)로 됨 |
宀, 9 |

|
國
(国) |
나라 국 |
國民, 全國 |
囗+或(혹). 국민들(口)을 보호하기 위해 창으로 막고 울타리를(囗 국경)쳐 놓은 것이 나라이다. 또는 혹시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창을 든 군사들로 나라를 에우는 것이 나라임 |
囗, 11 |

|
軍
(军) |
군사 군 |
軍事, 將軍 |
외바퀴 수레(車)에 포와 군사를 싣고 이를 가리고(冖) 싸우는 무리가‘군사’임 |
車, 9 |

|
漢字
(간체자) |
訓과 音
(부수, 획수) |
活用 낱말 |
解 說 |
大 |
큰 대 |
大會, 最大 |
정면에서 바라본 사람의 머리, 두 팔, 두 다리를 본뜬 글자. 큰 것은 하늘이기는 하나 형상을 본떠서 그릴 수 없기 때문에 그 다음으로 큰 사람의 형상을 그려‘크다’를 나타냄 |
大, 3 |

|
門
(门) |
문 문 |
門前, 正門 |
두 개의 문짝을 달아놓은 모양을 본 떠‘문’이라는 뜻임 |
門, 8 |

|
先 |
먼저 선 |
先祖, 于先 |
위는 之자. 그 밑에 人(儿)을 더하여 남보다 앞서 간다는 뜻. 나아가다. 앞서가다. 먼저 |
儿, 6 |

|
生 |
날 생 |
生産, 先生 |
초목이 나고 차츰 자라서 땅 위에 나온 모양을 본 떴다. 아래의 一은 땅을, 土는 풀이 자람을 본 떴음 |
生, 5 |

|
人 |
사람 인 |
人類, 主人 |
사람이 팔을 뻗치고 서 있는 것을 옆에서 본 모양. 선다는 것은 다른 동물은 할 수 없는 특성임 |
人, 2 |

|
力 |
힘 력 |
力道, 努力 |
팔에 힘을 주었을 때 근육이 불거진 모양을 본 뜬 글자이며, 그래서‘힘’을 나타냄 |
力, 2 |

|
漢字
(간체자) |
訓과 音
(부수, 획수) |
活用 낱말 |
解 說 |
江 |
강 강 |
江山, 漢江 |
강. 큰 내. 중국의 북쪽에서는 河(黃河) 남쪽에서는 江(長江, 大江, 揚子江). 중국에서 굽이침이(工) 제일 큰 강(■)으로 양자강을 뜻했으나 지금은 널리 큰 강으로 쓰임 |
水氵, 6 |

|
山 |
뫼 산, 산 산 |
山水, 登山 |
산의 모양을 본뜬 글자. 위는 산의 모양을 본 뜨고 一은‘땅’을 나타냄 |
山, 3 |

|
上 |
윗 상 |
上衣, 引上 |
一은, 일정한 높이, 丨은‘그 위치보다 높은 장소임’을 나타냄 |
一, 3 |

|
下 |
아래 하 |
上下, 下人 |
一은 일정한 위치를 나타내고 丨은 그보다 낮은 장소를 나타냄. 아래. 하급. 땅. 항복하다. |
一, 3 |

|
男 |
사내 남 |
男性, 醜男 |
남자는 들에 나가서 농사일에 힘써야 하므로 田과 力을 합하여‘남자’를 뜻함 |
田, 7 |

|
女 |
여자 여 |
女性, 少女 |
여자가 손과 무릎을 굽히고 얌전하게 앉아 있는 모습을 나타낸 글자임 |
女, 3 |

|
漢字
(간체자) |
訓과 音
(부수, 획수) |
活 用 낱 말 |
解 說 |
王 |
임금 왕 |
王子, 王室 |
하늘(天)과 땅(地)과 사람(人)을 세 가지 덕(德)이라 했다. 이것을 一 셋으로 표시하고 이를 꿰뚫어(丨) 다스리니 이 사람이‘왕’임 |
玉, 4 |

|
子 |
아들 자 |
子女, 孫子 |
孑 孒 孑 등 여러 가지로 쓴다. 사람의 머리와 수족을 본뜬 글자. 다리가 하나인 것은 강보에 싸인 아이이기 때문임 |
子, 3 |

|
白 |
흰 백 |
白氏, 獨白 |
入과 二의 합자이다. 저녁의 어스레한 물색을 희다고 보는데서‘희다’의 뜻을 나타낸다. 또는 해가(日) 하늘에서 환하게(■)비추니 그 색은‘흰색’임 |
白, 5 |

|
( 12 )급 한자 평가(A)
( )초등학교 ( )학년 ( )반 번호( ) 이름( ) |
|
|
|
※ 다음 글을 읽고 밑줄 친 한자어에 맞는 음을 쓰시오.(1~5) |
|
※ 다음 한자어를 우리 말로 적으시오.
(10~28)
10. 生日 ( ) 11. 軍人 ( )
12. 母校 ( ) 13. 白金 ( )
14. 東西 ( ) 15. 南北 ( )
16. 國軍 ( ) 17. 男女 ( )
18. 大門 ( ) 19. 日月 ( )
20. 母女 ( ) 21. 中學 ( )
22. 年月 ( ) 23. 年中 ( )
24. 萬國 ( ) 25. 民生 ( )
26. 學生 ( ) 27. 人力 ( )
28. 上下 ( )
※ 例(예)와 같이 다음 한자의 훈(뜻)과 음(소리)을 쓰시오.(29~42) |
■우리 父母(1)님께서는 항상 말씀하시기를 兄弟(2)간에 우애하라 하시고, 우리 學校(3)의 담임 先生(4)님께서는‘敎室(5)에서 조용히 공부 하라’하십니다. |
1. 父母 ( ) 2. 兄弟 ( )
3. 學校 ( ) 4. 先生 ( )
5. 敎室 ( )
※ 밑줄 친 말을 한자로 쓰시오.(6~9) |
■해는 동(6)쪽에서 떠서 서(7)쪽으로 집니다.
■왕자(8)님은 칠, 팔(9)개나 되는 사과를 두 팔에 안고 왔습니다. |
例) 백 (일백 백 ) |
29. 校 ( ) 30. 月 ( )
31. 弟 ( ) 32. 中 ( )
33. 千 ( ) 34. 土 ( )
|
6. 동 ( )
7. 서 ( )
8. 왕자 ( )
9. 칠, 팔 ( , ) |
35. 萬 ( ) 36. 民 ( )
37. 水 ( ) 38. 先 ( )
39. 日 ( ) 40. 生 ( )
41. 木 ( ) 42. 兄 ( )
※ 비슷하거나 반대되는 뜻을 가진 한자를 다음에서 골라 그 번호를 ( )안에 쓰시오.(43~46) |
|
※ 다음 설명에 맞는 한자를 쓰시오.
(49~50)
49. 나무의 뿌리와 가지 모양을 본뜬 글자로 나무를 뜻함.
( )
50. 열고 닫는 두 문짝의 모양을 본뜬 문을 뜻하는 글자.
( ) |
① 下 ② 西 ③ 中 ④ 火
⑤ 木 ⑥ 子 |
43. 母 ( ) 44. 上 ( )
45. 水 ( ) 46. 東 ( )
※ 다음 고사성어에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47~48)
47.‘먼 장래를 내다보고 세우는 계획’을 뜻하는 고사성어로 百年( )計라고 한다.
48.‘품은 마음이 사흘을 가지 못한다.’라는 뜻을 나타내는 고사성어로 作心三( )이라 한다. |
( 12 )급 한자 평가(B)
( )초등학교 ( )학년 ( )반 번호( ) 이름( ) |
|
|
|
※ 다음 글을 읽고 밑줄 친 한자에 맞는 음을 쓰시오.(1~5) |
|
※ 다음 한자어를 우리 말로 적으시오.
(10~28)
10. 國學( ) 11. 王室( )
12. 國軍( ) 13. 千萬( )
14. 母女( ) 15. 母校( )
16. 南北( ) 17. 民生( )
18. 先生( ) 19. 上下( )
20. 年中( ) 21. 人力( )
22. 年月( ) 23. 男女( )
24. 萬國( ) 25. 白金( )
26. 學生( ) 27. 日月( )
28. 中學( )
※ 例(예)와 같이 다음 한자의 훈과 음을 쓰시오.(29~42) |
■十(1)을 열 배하면 百(2)이고, 백을 열 배하면 千(3)이고, 천을 열 배하면 萬(4)이다.
■사람은 男女(5)로 구분한다. |
1. 十 ( ) 2. 百 ( )
3. 千 ( ) 4. 萬 ( )
5. 男女 ( )
※ 밑줄 친 말을 한자로 쓰시오.(6~9) |
■하늘에는 일월(6)이 있고, 땅에는 강산(7)이 있다.
■궁궐의 대문(8)은 기계로 만든 것이 아니고 인력(9)으로 만든 것이다. |
例) 백 (일백 백 ) |
29. 室 ( ) 30. 月 ( )
31. 父 ( ) 32. 校 ( )
33. 百 ( ) 34. 土 ( )
35. 萬 ( ) 36. 王 ( ) |
6. 일월 ( )
7. 강산 ( )
8. 대문 ( )
9. 인력 ( ) |
37. 火 ( ) 38. 先 ( )
39. 金 ( ) 40. 子 ( )
41. 木 ( ) 42. 母 ( )
※ 반대되는 뜻을 가진 한자를 다음에서 골라 그 번호를( )안에 쓰시오.
(43~46) |
|
※ 다음 설명에 맞는 한자를 쓰시오.
(49~50)
49. 사람이 팔을 뻗치고 서 있는 것을 옆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로 사람을 뜻함 ( )
50. 달의 모양을 본뜬 글자
( )
|
① 北 ② 山 ③ 中 ④ 月
⑤ 木 ⑥ 女 |
43. 江 ( ) 44. 男 ( )
45. 日 ( ) 46. 南 ( ) |
※ 다음 고사성어에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47~48)
47.‘물음에 대하여 엉뚱한 대답을 하는 경우’를 뜻하는 고사성어로 ( )問西答 이라 쓰인다.
48.‘많은 사람이 모인 상태’를 이르는 고사성어는 人( )人海라 한다. |
12급 (뒷면)
가. 11급 한자
순 |
한자 |
훈 |
음 |
간체자 |
순 |
한자 |
훈 |
음 |
간체자 |
1 |
出 |
날 |
출 |
|
26 |
記 |
기록한 |
기 |
記 |
2 |
入 |
들 |
입 |
|
27 |
名 |
이름 |
명 |
|
3 |
民 |
백성 |
민 |
|
28 |
空 |
빌 |
공 |
|
4 |
間 |
사이 |
간 |
間 |
29 |
氣 |
기운 |
기 |
气 |
5 |
家 |
집 |
가 |
|
30 |
有 |
있을 |
유 |
|
6 |
事 |
일 |
사 |
|
31 |
信 |
믿을 |
신 |
|
7 |
手 |
손 |
수 |
|
32 |
重 |
무거울 |
중 |
|
8 |
足 |
발 |
족 |
|
33 |
直 |
곧을 |
직 |
|
9 |
老 |
늙을 |
노 |
|
34 |
小 |
작을 |
소 |
|
10 |
少 |
젊을, 적을 |
소 |
|
35 |
花 |
꽃 |
화 |
|
11 |
天 |
하늘 |
천 |
|
36 |
來 |
올 |
래 |
來 |
12 |
地 |
땅 |
지 |
|
37 |
春 |
봄 |
춘 |
|
13 |
內 |
안 |
내 |
|
38 |
夏 |
여름 |
하 |
|
14 |
外 |
밖 |
외 |
|
39 |
秋 |
가을 |
추 |
|
15 |
每 |
매양, 늘 |
매 |
|
40 |
冬 |
겨울 |
동 |
|
16 |
年 |
해 |
년 |
|
41 |
前 |
앞 |
전 |
|
17 |
不 |
아닐 |
부 |
|
42 |
後 |
뒤 |
후 |
后 |
18 |
正 |
바를 |
정 |
|
43 |
左 |
왼쪽 |
좌 |
|
19 |
文 |
글월 |
문 |
|
44 |
右 |
오른쪽 |
우 |
|
20 |
字 |
글자 |
자 |
|
45 |
市 |
저자 |
시 |
|
21 |
同 |
한가지 |
동 |
|
46 |
郡 |
고을 |
군 |
|
22 |
時 |
때 |
시 |
時 |
47 |
邑 |
고을 |
읍 |
|
23 |
動 |
움직일 |
동 |
動 |
48 |
面 |
낯 |
면 |
|
24 |
植 |
심을 |
식 |
|
49 |
洞 |
골 |
동 |
|
25 |
物 |
만물 |
물 |
|
50 |
里 |
마을 |
리 |
|
나. 한자 해설
漢字
(간체자) |
訓과 音
(부수, 획수) |
活用 낱말 |
解 說 |
出 |
날 출 |
出入, 支出 |
초목이 차츰 가지를 위로 뻗으며 자라나는 모양을 본 떴다. 그래서‘성장하다, 출생하다’의 뜻임. 나다. 내다. 지출 |
凵, 5 |

|
入 |
들 입 |
入場, 出入 |
들다, 수입, 하나의 줄기가 갈라져 땅속으로 들어가는 모양 |
入, 2 |

|
民 |
백성 민 |
民族, 良民 |
초목의 싹이 많이 나 있는 모양이며 토지에 의지하여 사는 많은 사람 곧 백성을 뜻함. 또‘노예의 눈을 바늘로 찔러 눈이 멀게 된 모양으로 무지의 사람들이 곧 백성’이라는 뜻도 있음 |
氏, 5 |

|
間
(间) |
사이 간 |
間食, 時間 |
門 안에 月을 넣은 자가 본 글자. 間은 속자. 닫힌 문짝 사이로 달빛이 새어드는 것은 두 문짝 사이에 틈이 있었기 때문임 |
門, 12 |

|
家 |
집 가 |
家長, 作家 |
宀+豕(돼지 시) 본 뜻은 돼지의 집. 돼지는 ‘새끼를 많이 낳는다’라는 뜻에서 사람이 많이 모여 있는 즉 번창한 가족이 모여 사는‘집’을 나타내게 되었음. 豚兒(자기 자녀 낮춘 말) |
宀, 10 |

|
事 |
일 사 |
農事, 人事 |
古字는 十+口+又로 됨. 十은 나무, 또는 깃대. 口는 깃발. 又는 일을 하는 손을 나타낸다. 깃발을 단 깃대를 손으로 들고 있다는데서‘일’을 나타냄 |
亅, 8 |

|
漢字
(간체자) |
訓과 音
(부수, 획수) |
活用 낱말 |
解 說 |
手 |
손 수 |
手足, 手段 |
다섯 손가락을 펼치고 있는 손의 모양을 그린 그림이 발전한 자. 변으로 쓰일 때는‘扌’이 손수 변이고‘才’는 재방변이라 함 |
手, 4 |

|
足 |
발 족 |
足下, 手足 |
무릎을 본뜬 口와 정강이에서부터 다리까지의 止를 합하여 무릎부터 아래, 곧 다리까지를 나타냄 |
足, 7 |

|
老 |
늙을 로 |
老少, 元老 |
毛+人+匕의 합자. 匕 는 人을 뒤집은 것으로 늙어서‘허리가 굽고 머리가 세어 모양이 변함’을 뜻한다. 모두 합하여‘늙어서 머리털이 변한 사람’이란 뜻으로‘일흔 이상의 늙은이’라는 뜻을 나타냄. 머리로 쓰일 때는 耂 |
老, 6 |

|
少 |
적을, 젊을 소 |
少年, 老少 |
적다. 약간. 젊다. 줄다. 小를 그릇 위에 올려놓은 모양임 |
小, 4 |

|
天 |
하늘 천 |
天池, 靑天 |
大+一. 大는 사람(人), 一은 사람의 머리 위에 있어 끝없이 넓은 것, 그것이 바로‘하늘’을 뜻함 |
大, 4 |

|
地 |
땅 지 |
地球, 天地 |
땅. 지위. 신분. 土+也. 古字는 山, 水, 土를 차례로 세로로 놓은 자로 땅을 나타냄. 也는 여자의 음부를 그대로 본뜬 글자. 음의 기운을 받아 식물을 자라게 하는 흙은‘땅’을 뜻함 |
土, 6 |

|
漢字
(간체자) |
訓과 音
(부수, 획수) |
活用 낱말 |
解 說 |
內 |
안 내 |
內部, 案內 |
冂+入. 冂은 세 방면이 가리어진 것, 이에 入을, 더하여‘밖에서 가리어진 안쪽으로 들어간다’라는 뜻임 |
入, 4 |

|
外 |
밖 외 |
外家, 課外 |
夕+卜. 占은 보통 아침에 치는 법인데 저녁에 점을 치는 것은 정상에서 벗어나는 일이라는 뜻에서‘밖’의 뜻을 가짐 |
夕, 5 |

|
每 |
매양 매 |
每年, 每日 |
본 자는 屮+母 자식을 기르는 어머니의 왼손(품)에 있으니‘언제나, 늘, 매양’이라는 뜻임 |
母, 7 |

|
年 |
해 년 |
年代, 來年 |
禾+子(千)의 합자. 풍성한 가을에 곡식(禾)이 많이(千) 익은 기간으로 처음 글자는 禾千이었지만 지금은 곡식의 씨앗(子)을 새로 받은 한 ‘해’를 뜻하며 年으로 씀. 해. 나이. 콧마루 |
干, 6 |

|
不 |
아니 불(부) |
不幸, 不德 |
不의 一은 하늘을 뜻하고 个는 새가 날고 있는 모양. 새는 하늘을 높이 날아 내려오지 않으니‘부정’의 뜻을 나타냄 |
一, 4 |

|
正 |
바를 정 |
正直, 修正 |
一+止 아나(一)를 지켜서 멈춘다(止)라는 뜻. 곧 정도를 지킨다는 뜻. 그래서‘바르다’라는 뜻임 |
止, 5 |

|
漢字
(간체자) |
訓과 音
(부수, 획수) |
活用 낱말 |
解 說 |
文 |
글월 문 |
文章, 漢文 |
사람의 머리(亠)로 음(丿)과 양(乀)이 교차하는 모양을 나타내어 널리‘글월’을 뜻함 |
文, 4 |

|
字 |
글자 자 |
文字, 漢字 |
宀+子. 자식이 집안에 있는 모습. 원 뜻은‘집안에서 자식을 낳아 젖을 먹여 기른다’라는 뜻임 |
子, 6 |

|
同 |
한 가지 동 |
同胞, 合同 |
冂에 一 한 것은 위를 덮어 가린다라는 뜻. 덮어 가린 일정한 장소에 사람(口)이 모였다는 데서‘모이다.’가 원 뜻인데‘같은 의견’이란 뜻을 나타내기도 함. 한가지. 무리. 같게. 모이다. |
口, 6 |

|
時
(时) |
때 시 |
時計, 同時 |
日+寺. 寺(시)는 음을 나타낸다. 태양이(日) 규칙적인(寸) 궤도로 돌아가니(土) 때를 나타냄 |
日, 10 |

|
動
(动) |
움직일 동 |
動物, 移動 |
重+力을 합친 글자이며 무거운 것을 힘써 움직이니‘움직이다’의 뜻임. 움직이다. 변하다. |
力, 11 |

|
漢字
(간체자) |
訓과 音
(부수, 획수) |
活用 낱말 |
解 說 |
植 |
심을 식 |
植木, 移植 |
木+直. 나무는 곧게 심어야 잘 살 수 있으니 ‘심다’의 뜻임 |
木, 12 |

|
物 |
물건 물 |
物質, 植物 |
만물. 무리. 소우 변(牛)에 말 물(勿)한 자로 勿은 음. 제물로 바칠 때 소(牛)를 제외하지 않으니(勿) 소가‘만물’을 대표한다라는 뜻임 |
牛, 8 |

|
記
(记) |
기록 기 |
記錄, 日記 |
기록하다. 외다. 문서. 言(자기 생각을 입으로 나타내는 것) + 자기(己). 자신의 필요에 의해서 소리(言)를 글로 써 놓으니‘기록하다’의 뜻임 |
言, 10 |

|
名 |
이름 명 |
名曲, 命名 |
저녁(夕)이 되면 식구나 친지의 얼굴이 보이지 않아 외쳐 부른(口)‘이름’을 뜻함 |
口, 6 |

|
空 |
빌 공 |
空氣, 虛空 |
비다. 하늘. 공허하다. 穴+工. 땅에 구멍이(穴) 뚫리도록 만들었으니(工) 속이‘비다’의 뜻임 |
穴, 8 |

|
氣
(气) |
기운 기 |
氣分, 勇氣 |
솥에 쌀을 넣고 불을 지피니 김이 모락모락 오르니 그게 기운이다. 气는 구름이 피어오르는 모양이라고도 하고, 김이 곡선을 그으면서 솟아오르는 모양. 또는 입김이 입에서 나오는 모양. 氣(기운)는 乞(빌 걸)과 같음 |
气, 10 |

|
漢字
(간체자) |
訓과 音
(부수, 획수) |
活用 낱말 |
解 說 |
有 |
있을 유 |
有名, 所有 |
있다. 많다. 자재. 그믐 이후에 달(月)이 또 다시( ) 생기니 달은 결국‘있다’라는 뜻임 |
月, 6 |

|
信 |
믿을 신 |
自信, 所信 |
사람다운 인품은 말 속에 있다. 말이란 함부로 하는 것이 아니다. 사람(人, 亻)이 입으로 하는 말(言)은 마음의 소리이니‘믿다’의 뜻임 |
人, 9 |

|
重 |
무거울 중 |
重大, 貴重 |
무겁다. 무게. 짐. 사형. 아이. 사람이 등에 무거운 짐을 지고 어렵게 가는 모양을 본 떠서 만든 글자임 |
里, 9 |

|
直 |
곧을 직 |
直線, 直面 |
十+目+ㄴ=直. ㄴ은 숨긴다는 뜻, 열 눈이 보는바 아무리 숨겨도 드러나지 아니함이 없다는 뜻에서‘바르다’는 뜻을 나타냄 |
目, 8 |

|
春 |
봄 춘 |
春分, 立春 |
艸+屯+日을 세로로 한자→春 屯이 변음 되어‘춘’으로 됨. 풀이 볕을 받아 비로소 싹이 돋으려고 (屯 진칠 둔) 한다는 뜻. 그래서 새싹이 돋는 봄을 나타냄 |
日, 9 |

|
夏 |
여름 하 |
夏服, 夏至 |
패머리를 깎고(頁) 정강이를 내놓으니(夂) 여름임 |
夂, 10 |

|
漢字
(간체자) |
訓과 音
(부수, 획수) |
活用 낱말 |
解 說 |
秋 |
가을 추 |
秋夕, 立秋 |
벼가 불붙듯이 된 철이 가을. 햇볕(火)을 받아 곡식(禾)이 무르익는 계절로 가을을 뜻함 |
禾, 9 |

|
冬 |
겨울 동 |
冬眠, 冬至 |
두개의 冫은 氷과 같은 글자. 네 철 중 끝 계절로서 만물이 얼어붙는 때 곧 겨울을 뜻함 |
冫. 5 |

|
前 |
앞 전 |
前後, 事前 |
앞 전, 자를 전, 앞서 나아가다. 가위. 멈추어 있는(止-ㅛ) 배(舟-月)의 밧줄을 칼(刀)로 끊고 나아가니‘앞’을 뜻함 |
刀, 9 |

|
後
(后) |
뒤 후 |
後孫, 午後 |
彳+幺+夂 작은 것이(幺) 천천히 걸어서(夂) 앞으로 나아가는 것(彳)이란 뜻. 그래서‘뒤지다’란 뜻임. 뒤. 늦다. |
彳, 9 |

|
左 |
왼 좌 |
左右, 左記 |
+工 일은 오른손으로 하는데 그 일을 왼손으로 돕고 있다는데서 원 뜻은‘돕다’이다. 이것을 假借하여 왼쪽이란 뜻으로 쓰게 되고‘돕다’란 뜻은 佐로 쓰게 되었음
|
工, 5 |

|
右 |
오른 우 |
右側, 左右 |
又+口 又는 의 전자로서 오른손을 본뜬 것이며 또한 음도 나타낸다. 일을 하는데 오른손만으로는 모자라 입으로서 조언을 한다는데서 원 뜻은‘돕다’임 |
口, 5 |

|
漢字
(간체자) |
訓과 音
(부수, 획수) |
活用 낱말 |
解 說 |
市 |
저자 시 |
市長, 都市 |
일정한 경계가 있는 저자에 사람들이 그 곳에 가서 그 구역 안에서 물건을 사고팔고 하는 곳이란 뜻임 |
巾, 5 |

|
郡 |
고을 군 |
郡內, 市郡 |
君+阝(阜) 또는 邑 사또(君)가 있는 고을(阝) |
邑,■, 10 |

|
邑 |
고을 읍 |
邑內, 都邑 |
口+巴. 口는 경계가 뚜렷한 영토, 巴는 卩로 제후에게 내린 천자의 부절. 제후가 있는 곳. 사람이 모여 사는 마을의 뜻임 |
邑(■), 7 |

|
面 |
낯 면 |
面目, 假面 |
사람의 우뚝 솟은 코와 눈동자, 얼굴의 형태를 본 떠서 만든 글자 |
面, 9 |

|
洞 |
골동, 통할통 |
洞長, 洞察 |
물(氵)이 흐르는 냇가에 함께 모여 사니 고을(골)을 이룸 |
水, 9 |

|
里 |
마을 리 |
里長, 鄕里 |
田+土 → 里. 밭도 있고 흙도 있어서 사람이 살만한 곳. 곧‘마을, 촌락’을 뜻함 |
里, 8 |

|
漢字
(간체자) |
訓과 音
(부수, 획수) |
活用 낱말 |
解 說 |
小 |
작을 소 |
小數, 最小 |
물질을 구성하는 점(丶) 셋이 나란히 모였으니 매우‘작다’라는 뜻. 또는 아주 미세한 물건(八)을 다시 둘로 나누었으니(亅)‘작다’란 뜻임 |
小, 3 |

|
花 |
꽃 화 |
花草, 百花 |
새싹(艹)의 씨앗이 점점 커져 아름답게 되니(化) 그것이‘꽃’이라는 뜻임 |
艹, 8 |

|
來
(来) |
올 래 |
來往, 未來 |
從 은 한 껍질 안에 낟알 두 개가 들어있는 모양. 밀과 보리를 뜻하며 밀과 보리는 하늘에서 왔다는 데서‘오다. 이르다.’의 뜻으로 바뀜 |
人, 8 |

|
( 11 )급 한자 평가(A)
( )초등학교 ( )학년 ( )반 번호( ) 이름( ) |
|
|
|
※ 다음 글을 읽고 밑줄 친 한자에 맞는 음을 쓰시오.(1~6) |
|
19. 백성 민( ) 20. 나라 국( )
※ 다음 밑줄 친 낱말에 알맞은 한자를 <보기>에서 찾아 그 번호를 쓰시오.(21~29) |
■영수네 집은 지금은 장흥郡⑴ 장흥邑⑵ 건산里⑶에 있지만, 고향은 여수市⑷ 남산洞⑸이다. 영수의 외할아버지께서 장흥郡⑴ 장평面⑹에서 혼자 사시기 때문에 이 곳으로 이사오게 된 것이다. |
■나의 고향은 봄(21)에는 꽃(22)이 피고, 여름(23)에는 새가 울며, 가을(24)에는 단풍잎이 빨갛게 물들며, 겨울(25)에는 온 천지(26)가 하얀 눈으로 뒤덮여 사계절 내내 아름다운 곳입니다.
■땅(27)에는 온갖 식물(28)과 동물(29)이 살아가고 있습니다. |
1. ( ) 2. ( )
3. ( ) 4. ( )
5. ( ) 6. ( )
※ 다음 한자의 훈과 음을 쓰시오.(7~14)
17. 有( ) 8. 信 ( )
19. 重( ) 10. 直 ( )
11. 小( ) 12. 花 ( )
13. 來( ) 14. 名 ( )
※ 다음 <보기>에서 훈과 음에 알맞은 한자를 골라 그 번호를 ( )안에 쓰시오.(15~20) |
|
|
보
기 |
① 夏 ② 秋 ③ 天地
④ 花 ⑤ 春 ⑥ 動物
⑦ 冬 ⑧ 地 ⑨ 植物 |
21. ( ) 22. ( )
23. ( ) 24. ( )
25. ( ) 26. ( )
27. ( ) 28. ( )
29. ( ) |
|
|
보
기 |
① 學 ② 國 ③ 萬
④ 出 ⑤ 軍 ⑥ 手
⑦ 民 ⑧ 重 |
※ 한자어의 음을 쓰시오.(30~35)
30. 家事 ( ) 31. 老少 ( )
32. 每年 ( ) 33. 空氣 ( )
34. 記名 ( ) 35. 同時 ( ) |
15. 군사 군( ) 16. 손 수 ( )
17. 일만 만( ) 18. 배울 학( ) |
※ 다음 설명에 맞는 한자를 <보기>에서 골라 번호를 쓰시오.(36~40) |
|
41. 少 ․ ․ ㉠ 곧을 직
42. 空 ․ ․ ㉡ 빌 공
43. 直 ․ ․ ㉢ 믿을 신
44. 信 ․ ․ ㉣ 젊을 소
※ 다음 한자의 뜻과 음을 <보기>에서 골라 그 번호를 쓰시오.(45~48) |
보
기 |
① 出 ② 字 ③ 間
④ 手 ⑤ 秋 ⑥ 不 |
36. 풀이나 나무가 가지를 위로 뻗으며 자라나는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로‘성장하다.’,‘출생하다.’의 뜻 ( )
37. 門 안에 月을 넣은 글자가 본 글자로 닫힌 문짝 사이로 달빛이 새어드는 것은 두 문짝 사이에 틈이 있었기 때문임 ( )
38. 다섯 손가락을 펼치고 있는 손의 모양을 그린 그림이 발전한 글자임 ( )
39. 一은 하늘을 뜻하고, 个는 새가 날고 있는 모양인데, 새는 하늘을 높이 날아 내여오지 않으니 부정의 뜻을 나타냄 ( )
40. 자식이 집안에 있는 모습으로 원뜻은 집안에서 자식을 낳아 젖을 먹여 기른다는 뜻임 ( )
※ 다음 한자의 그 뜻과 음이 어울리는 것끼리 줄로 이으시오.(41~44)
|
보
기 |
① 사 ② 일 ③ 발
④ 하늘 ⑤ 천 ⑥ 바르다
⑦ 정 ⑧ 족 |
45. 正은 ( )라는 뜻이며, ( ) 이라고 읽습니다.
46. 足은 ( )이라는 뜻이며,
( )이라고 읽습니다.
47. 事는 ( )이라는 뜻이며,
( )라고 읽습니다.
48. 天은 ( )이라는 뜻이며,
( )이라고 읽습니다.
※ 다음의 고사성어를 완성하시오.(49~50)
49. 기다리는 마음이 간절하여 하루가 삼년이나 된 듯 지루함을 나타냄 → 一日三( )
50. 마른 나무에 꽃이 핀다는 뜻으로 불운한 사람이 행운을 만난다는 의미 → 枯木生( ) | 11급 (A)뒷면
( 11 )급 한자 평가(B)
( )초등학교 ( )학년 ( )반 번호( ) 이름( ) |
|
|
|
※ 다음 글을 읽고 밑줄 친 한자어에 맞는 음을 쓰시오.(1~6) |
|
※ 다음 <보기>에서 훈과 음에 알맞은 한자를 골라 그 번호를 ( )안에 쓰시오.(15~20) |
■횡단보도를 건널 때에는 前後左右⑴를 잘 살펴야 합니다.
■아침 空氣⑵는 맑고 신선하여 우리의 기분을 상쾌하게 해줌과 同時⑶에 건강에도 좋습니다.
■날씨가 따뜻해지면 길가의 개나리와 뒷동산의 진달래가 봄 소식을 전해줍니다. 每年⑷ 이맘 때가 되면 男女老少⑸ 구분없이 경치 좋은 곳을 찾아 나들이를 합니다.
■오늘 할 일을 來日⑹로 미루지 맙시다. |
보
기 |
① 間 ② 信 ③ 足
④ 弟 ⑤ 文 ⑥ 直
⑦ 民 ⑧ 重 |
15. 믿을 신 ( ) 16. 발 족 ( )
17. 곧을 직 ( ) 18. 아우 제 ( )
19. 글월 문 ( ) 20. 사이 간 ( )
※ 다음 밑줄 친 낱말에 알맞은 한자를 <보기>에서 찾아 그 번호를 쓰시오.(21~30) |
■하늘(21)과 땅(22) 사이(23)에는 맑은 공기(24)로 채워져 있습니다.
■땅에는 봄(25), 여름(26), 가을(27), 겨울(28) 등의 계절에 따라 아름다운 경치가 펼쳐지며 서로 다른 동물(29)과 식물(30)이 자랍니다. |
1. ( ) 2. ( )
3. ( ) 4. ( )
5. ( ) 6. ( )
※ 다음 한자의 훈과 음을 쓰시오.(7~14)
17. 邑 ( ) 8. 面 ( )
19. 郡 ( ) 10. 市 ( )
11. 洞 ( ) 12. 里 ( )
13. 記 ( ) 14. 花 ( ) |
|
보
기 |
① 夏 ② 秋 ③ 天 ④ 間
⑤ 春 ⑥ 地 ⑦ 冬 ⑧ 動物
⑨ 空氣 ⑩ 植物 |
|
21. ( ) 22. ( )
23. ( ) 24. ( )
25. ( ) 26. ( )
27. ( ) 28. ( )
29 ( ) 30. ( ) |
|
41. 은 숨긴다는 뜻, 열(十)개의 눈(目)이 보는바 아무리 숨겨도 드러
나지 아니함이 없다는 뜻에서‘바르다’는 뜻을 나타냄 ( )
※ 다음 한자와 그 뜻과 음이 어울리는 것끼리 줄로 이으시오.(42~45)
42. 面 ․ ․ ㉠ 기운 기
43. 重 ․ ․ ㉡ 올 래
44. 來 ․ ․ ㉢ 무거울 중
45. 氣 ․ ․ ㉣ 얼굴 면
※ 다음 한자의 뜻과 음을 <보기>에서 골라 번호를 쓰시오.(46~48) |
|
|
※ 한자어의 음을 ( )안에 쓰시오.(31~36)
31. 民間 ( ) 32. 不正 ( )
33. 家事 ( ) 34. 文字 ( )
35. 記名 ( ) 36. 國軍 ( )
※ 다음 설명에 맞는 한자를 <보기>에서 골라 번호를 쓰시오.(37~41) |
보
기 |
① 화 ② 소 ③ 교
④ 작다 ⑤ 학교 ⑥ 꽃 |
보
기 |
① 秋 ② 有 ③ 間
④ 直 ⑤ 天 ⑥ 足 |
46. 校는 ( )이라는 뜻이며, ( )라고 읽습니다.
47. 花는 ( )이라는 뜻이며, ( )라고 읽습니다.
48. 小는 ( )라는 뜻이며, ( )라고 읽습니다.
※ 다음의 고사성어를 완성하시오.(49~50)
49. 입은 있으나 할 말이 없다는 뜻 → ( )口無言
50. 집안에만 있고 밖에 나가지 않음 → 杜門不( ) |
37. 무릎을 본뜬 口와 정강이에서부터 다리까지의 止를 합하여 무릎부터 다리까지를 나타냄 ( )
38. 大는 사람(人), 一은 사람의 머리 위에 있어 끝없이 넓은 것, 즉 하늘을 뜻함 ( )
39. 그믐 이후에 달(月)이 또 다시(又)생기니 달은 결국 있다는 뜻임 ( )
40. 햇볕(火)을 받아 벼(禾)가 무르익는 계절을 뜻함 ( ) |
정 답
12급 한자평가(A)
(31~32쪽)
1.부모 2.형제 3.학교 4.선생 5.교실 6.東 7.西 8.王子 9.七八 10.생일 11.군인 12.모교 13.백금 14.동서 15.남북 16.국군 17.남녀 18.대문 19.일월 20.모녀 21.중학 22.연월 23.연중 24.만국 25.민생 26.학생 27.인력 28.상하 29.학교 교 30.달 월 31.아우 제 32.가운데 중 33.일천 천 34.흙 토 35.일만 만 36.백성 민 37.물 수 38.먼저 선 39.날 일 40.날 생 41.나무 목 42.맏 형 43.⑥ 44.① 45.④ 46.② 47.大 48.日 49. 木 50.門
12급 한자평가(B)
(33~34쪽)
1.십 2.백 3.천 4.만 5.남녀 6.月 7.江山 8.門 9.人力 10.국학 11.왕실 12.국군 13.천만 14.모녀 15.모교 16.남북 17.민생 18.선생 19.상하 20.연중 21.인력 22.연월 23.남녀 24.만국 25.백금 26.학생 27.일월 28.중학 29.집 실 30.달 월 31.아비 부 32.학교 교 33.일백 백 34.흙 토 35.일만 만 36.임금 왕 37.불 화 38.먼저 선 39.쇠 금 40.아들 자 41.나무 목 42.어미 모 43.② 44.⑥ 45.④ 46.① 47.東 48.山 49.人 50.月
11급 한자평가(A)
(45~46쪽)
1.군 2.읍 3.리 4.시 5.동 6.면 7.있을 유 8.믿을 신 9.무거울 중 10.곧을 직 11.작을 소 12.꽃 화 13.올 래 14.이름 명 15.⑤ 16.⑥ 17.③ 18.① 19.⑦ 20.② 21.⑤ 22.④ 23.① 24.② 25.⑦ 26.③ 27.⑧ 28.⑨ 29.⑥ 30.가사 31.노소 32.매년 33.공기 34.기명 35.동시 36.① 37.③ 38.④ 39.⑥ 40.② 41.㉣ 42.㉡ 43.㉠ 44.㉢ 45.⑥, ⑦ 46.③, ⑧ 47. ②, ① 48.④, ⑤ 49.秋 50. 花
11급 한자평가(B)
(47~48쪽)
1. 전후좌우 2.공기 3.동시 4.매년 5.남여노소 6.내일 7.고을 읍 8.고을 면 9.고을 군 10.저자 시 11.고을 동 12.마을 리 13.기록할 기 14.꽃 화 15.② 16.③ 17.⑥ 18.④ 19.⑤ 20.① 21.③ 22.⑥ 23.④ 24.⑨ 25.⑤ 26.① 27.② 28.⑦ 29.⑧ 30.⑩ 31.민간 32.부정 33.가사 34.문자 35.기명 36.국군 37.⑥ 38.⑤ 39.② 40.① 41.④ 42.㉣ 43.㉢ 44.㉡ 45.㉠ 46.⑤, ③ 47.⑥, ① 48.④, ② 49.有 50.出
|